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전국일반

일제강점기 사할린 강제징용 희생자 14명 유해 국내 봉환

등록 2019-10-06 14:49수정 2019-10-06 14:53

사할린 강제동원 희생자 고 정용만씨가 1985년 작성한 마지막 편지. 행정안전부 제공
사할린 강제동원 희생자 고 정용만씨가 1985년 작성한 마지막 편지. 행정안전부 제공
일제강점기에 러시아 사할린으로 강제동원됐다가 끝내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한 희생자 14명의 유해가 국내로 돌아왔다.

행정안전부는 1938년∼1945년 일제에 의해 사할린으로 강제동원된 한인 희생자 유해 14위를 봉환해 7일 충남 천안 ‘국립망향의동산’에 안치한다고 6일 밝혔다. 정부는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모두 6차례에 걸쳐 한인 유해 71위를 봉환한 바 있으며, 이번이 7차 봉환으로 전체 봉환 유해는 85위다.

러시아 사할린 10곳의 공동묘지에서 수습된 유해는 지난 6일 인천공항을 통해 국립망향의동산으로 봉환됐다. 정부는 7일 오후 2시 추도식 후 유해를 봉안당에 안치할 계획이다.

고 정용만씨가 일제에 의해 강제동원되기 전 부인과 함께 찍은 사진. 행정안전부 제공
고 정용만씨가 일제에 의해 강제동원되기 전 부인과 함께 찍은 사진. 행정안전부 제공
강제동원 피해자들은 일제강점기에 강제로 사할린으로 끌려가 탄광, 토목공사, 공장 등에서 혹독한 노동에 시달렸으며 고국 땅을 그리다 생을 마감해야 했다. 징용으로 끌려갔던 이들은 광복 뒤에도 일본 정부의 방치와 옛 소련의 무관심으로 귀환길이 막혔다가, 1990년 한·러 수교가 이뤄지면서 귀환 길이 열렸다.

할아버지 고 정용만(1911~1986년)씨의 유해를 봉환한 손자 정용달(51)씨는 “1943년 초여름, 논에 물 대러 나갔다가 징용에 끌려간 남편과 생이별을 한 94세의 할머니는 6살 사내아이와 뱃속의 딸을 홀로 키우며 한 많은 삶을 사셨다”며 “남편이 한 줌의 유골로 돌아왔지만, 할머니도 기뻐하실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사할린 지역의 한인 희생자 유해봉환 사업과 강제징용 기록물 수집이 안정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러시아 정부와 정부협정을 추진 중이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어떤 아이든 상관없이 같이 죽으려했다” 1.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어떤 아이든 상관없이 같이 죽으려했다”

살해 교사 “마지막 하교하는 아이 유인…누구든 같이 죽을 생각” 2.

살해 교사 “마지막 하교하는 아이 유인…누구든 같이 죽을 생각”

HDC신라면세점 대표가 롤렉스 밀반입하다 걸려…법정구속 3.

HDC신라면세점 대표가 롤렉스 밀반입하다 걸려…법정구속

대전 초등생 아버지 “교사가 아이 죽이는데 학교 어떻게 보내요” 4.

대전 초등생 아버지 “교사가 아이 죽이는데 학교 어떻게 보내요”

그 교사, 8살 살해하기 전엔 동료 폭행했다…컴퓨터 부수기도 5.

그 교사, 8살 살해하기 전엔 동료 폭행했다…컴퓨터 부수기도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