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가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2019년 7월 강원도 삼척에서 일어난 한 교통사고의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국내 6대 안전사고 사망자의 55.7%가 ‘극단적 선택’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극단적 선택의 숫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2배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19 지역안전지수’를 보면, 2018년 6대 안전사고 사망자 숫자는 2만4550명으로 2017년의 2만3085명보다 1465명 늘어났다. 6대 안전사고는 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극단적 선택, 법정 감염병이다. 6대 안전사고 사망자 숫자는 2015년 이후 계속 줄다가 증가로 돌아섰다. 이렇게 안전사고 사망자 숫자가 늘어난 것은 극단적 선택과 법정 감염병의 사망자 숫자가 각각 9.7%, 28.4% 늘어났기 때문이다. 반면, 교통사고와 생활안전, 범죄 등은 줄었다.
특히 극단적 선택은 2018년 1만3670명으로 6대 안전사고 사망자 2만4550명 가운데 55.7%를 차지했다. 극단적 선택은 2015년 1만3513명, 2016년 1만3092명, 2017년 1만2463명으로 줄어드는 추세였으나, 2018년 다시 1207명 늘어났다. 극단적 선택의 숫자는 하루 37명 꼴로 그 다음으로 많은 교통사고, 생활안전, 법정 전염병의 각각 4배 안팎이나 된다. 또 인구 1만명당 2.7명 꼴로, 1만명당 1.3명 꼴인 오이시디 평균의 2배를 넘는다.
신은정 중앙자살예방센터 부센터장은 “한국 사회가 급속도로 변화하다 보니 개인들의 삶이 불안정한데, 아직 사회안전망이 잘 갖춰져있지 않다. 정신적 문제가 생겼을 때 찾아가서 도움받을 수 있는 곳도 부족하고, 개인들이 상담을 꺼리기도 한다”고 원인을 분석했다. 신 부센터장은 “이제 정부와 사회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예방 교육·운동을 하고, 수단을 차단하며, 매체들이 보도를 하지 말아야 한다. 무엇보다 지역과 대상 특성에 맞는 예방 사업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교통사고와 법정 감염병 사망자는 오이시디 평균보다 높았고, 생활안전과 화재, 범죄는 오이시디 평균보다 낮았다. 특히 범죄는 오이시디 평균의 3분의 1, 화재는 오이시디 평균의 2분의 1로 매우 낮은 편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광역 가운데 경기는 범죄를 제외한 나머지 5개 분야에서 모두 최상위 1등급을 받아 가장 안전한 광역으로 꼽혔다. 이어 서울과 광주가 각 2개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았다. 반면, 광역 가운데 세종은 교통사고, 화재, 생활안전 등 3개 분야에서 최하위인 5등급을 받았다.
기초정부 가운데서는 시에선 수원이 4개 분야, 군에선 부산 기장이 5개 분야, 구에선 서울 송파가 4개 분야에서 최상위 1등급을 받았다. 반면, 기초 가운데 전북 김제시, 서울 종로구, 부산 중구, 대구 서구는 4개 분야에서 최하위 5등급을 받았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