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 안판다’ 알박고…‘땅 팔아라’ 협박하고
울산에 아파트 건축 바람이 불면서 건축업자의 약점을 노려 지주들이 과도한 땅값을 요구하는가 하면 일부 개발업자는 터를 팔지 않는 지주에게 협박성 우편물을 보내는 등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얼마전 입주자 모집을 끝낸 남구 신정동 주상복합 ㅋ아파트 시행사인 ㅇ사는 지난해 11월 건축허가를 받기 위해 예정터를 90% 이상 매입했으나, 애초 땅을 팔기로 했던 일부 상가건물 주인들이 건축허가 직전까지 팔지 않겠다고 버텨 약속했던 땅값의 갑절을 줘야만 했다.
ㅇ사 관계자는 “은행 빚을 내 90% 이상 땅을 사들인 상태에서 곧 아파트 분양에 들어가지 않으면 사업 자체가 무산될 수도 있어, 평당 1500만~2000만원에 사들이기로 했던 상가건물을 3000만~4000만원에 사들였다”고 실토했다.
울주군 범서읍에 1050가구분의 아파트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다른 ㅇ사는 지난해 7월 예정터 3만6000여평의 95%를 소유하고 있는 지주들과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토지사용 승낙서를 받아 11월 교통영향평가를 마무리한 뒤 현재 사업허가 신청절차를 밟고 있다. 하지만, 매매계약을 체결했던 지주 ㄷ씨가 지난해 7월 계약금을 받기 하루 전 230평을 ㄱ씨 등 3명에게 팔았고, ㄱ씨 등 3명은 이 땅을 ㅇ사가 매입하지 않으면 아파트 건설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ㅇ사 쪽에 현 시세의 6~7배 값을 요구하고 있다.
남구 신정5동에 아파트 건축을 추진하고 있는 ㅈ사는 지난달 땅을 팔지 않는 지주들에게 “본사와 불편한 관계가 진행되지 않길 바라니 제시금액으로 집을 팔라”는 등의 협박성 문구를 적은 편지를 내용증명과 함께 등기우편으로 보내 지주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시 관계자는 “도심 주택을 사들여 아파트를 지으려는 개발업체가 넘쳐나면서 매매차익을 노리는 부동산 중개업자들까지 땅을 마구 사들이고 있다”며 “터 매입가격이 비싸지면서 아파트 분양값과 주변 땅값도 함께 오르는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