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발표된 서울시 ‘노동정책 기본계획’의 일부.
코로나19 확산으로 지난해 서울시 노동상담이 30%가량 늘어났다. 특히 해고나 징계, 실업 급여 관련 상담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27일 서울노동권익센터가 낸 통계자료를 보면 지난해 노동자 상담 건수는 2만 2366건이다. 2019년(1만7190건)보다 30.1%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임금체불 관련 상담이 4314건(19.3%)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해고·징계(18.9%, 4236건), 근로시간·휴일·휴가(17.4%, 3884건), 실업급여(12.8%, 2865건) 관련 순이었다. 한해 전과 비교하면 해고·징계 관련 상담은 45.8%(2905→4236건), 실업급여 관련은 91.0%(1552→2865건)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또 상담자 중에는 일용직·기간제·파견 및 용역·일반임시직 등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58.6%를 차지했다. 직종별로는 청소·경비·주차관리 등 ‘단순노무직’ 비율이 27.2%로 가장 높았고, 업종 중에서도 청소·경비·주차장관리 등의 용역업체가 포함된 ‘시설관리업’(17.2%) 노동자들의 상담이 가장 많았다. 코로나19 영향으로 비정규직 등 취약 노동자들이 해고·실업 등 고용불안에 노출된 데 따른 것이라고 센터 쪽은 분석했다.
남녀 노동자 간 임금 차도 여전했다. 상담한 남성 노동자의 월 평균 임금은 256만원이었지만, 여성 노동자는 이의 83.2%인 213만원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코로나19 감염 우려에 대한 남녀 간 차이도 컸다. 코로나19 관련 상담자 중 여성은 54.1%, 남성은 45.9%였다. 센터 담당자는 “전체 상담자의 성별은 남성 51.9%, 여성 48.1%로 거의 비슷했음에도 이런 차이가 났다”며 “코로나19로 인해 여성 노동자가 고용불안과 근로조건 저하 등 불합리한 상황에 많이 노출됐음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남녀 간 상담유형도 차이가 있었다. 남성 노동자는 임금체불(20.3%) 관련이, 여성 노동자는 징계·해고(19.6%) 관련이 가장 많았다.
이와 함께 직장 내 괴롭힌 관련 상담 비중도 해마다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3%였던 상담 비중은 지난해 4.7%로 늘어났다.
서울시는 모두 21곳의 노동자 권익보호기관을 운영 중이다. 노동상담은 물론 불이익 구제를 위한 소송대리 등 법적 구제도 지원하고 있다. 상담은 무료다. 변호사·노무사 등 법률대리인 선임 비용도 서울시가 부담한다. 자세한 문의는 전화(1661-2020)와 센터 누리집(www.labors.or.kr)에서 가능하다.
김양진 기자
ky0295@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