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수목원은 25일 ‘독도의 날’을 맞아 독도에 자생하는 식물 분포 정보를 국제기구인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에 처음으로 실었다고 밝혔다.
국립수목원은 “독도는 울릉도와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양섬으로 섬이 생성된 이후 주변 대륙과 한 번도 연결된 적이 없어 다양하고 독특한 특산생물이 분포한다”며 “지정학적 측면에서 군사적 요충지이면서 학술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실은 식물 분포 정보는 국립수목원이 2012~2013년 조사한 자료와 1947~2018년 발표된 문헌, 표본 자료들을 종합한 자료로 독도의 식물다양성에 관한 기준자료다. 총 39과 115분류군으로, 70여년 간 축적된 838개의 식물 분포점 정보를 올려 조사 시기별로 독도의 식물상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정보에는 세계적으로 울릉도와 독도에만 서식하는 특산식물 5종(섬괴불나무, 섬초롱꽃, 섬기린초, 섬장대, 추산쑥부쟁이)과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인 ‘초종용’이 포함됐다.
국립수목원은 이들 식물의 종 보전을 위해 국제자연보호연맹(IUCN) 적색목록에 싣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기구로, 공동조사 활동으로 얻은 생물 다양성 정보를 국제적으로 공유하고 활용하고자 2001년 3월 만들어졌다.
그동안 독도 식물의 분포 정보는 대학과 연구소에서 개별적인 논문 위주로 발표돼 국제적으로 공유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국립수목원이 통합 자료를 구축하면서 이번 등재로 이어졌다.
국립수목원 디엠제트(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 길희영 박사는 “독도의 보전적 가치를 발굴해 널리 알리고, 우리나라 영토로써 주권을 확립하기 위해 독도의 생물다양성을 조사하고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관계 부처와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독도의 생물 다양성 보전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번에 공개한 독도 식물의 분포 정보는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 누리집(www.gbif.org)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