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지난해 1월 전국 최초로 도입한 ‘비정규직 공정수당’의 수혜자가 3038명으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예상치인 1792명보다 1246명 늘어난 것이다.
경기도는 이날 “지난해 비정규직 공정수당은 도 소속 기간제노동자 1340명, 공공기관 소속 기간제노동자 1698명 등 모두 3038명에게, 23억2천만원이 지급됐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비정규직 공정수당’은 경기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을 받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불안정성 해소를 위해 불안정성에 비례한 보수를 지원해 비정규직의 차별적 요소를 완화하고자 도입한 정책이다. 도와 도 공공기관 비정규직인 기간제노동자에게 기본급의 최소 5%에서 최대 10%까지 차등 지급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지급 구간별로 보면 11~12개월이 1770명으로 가장 많았고, 9~10개월 477명, 7~8개월 326명, 5~6개월 210명, 3~4개월 147명, 2개월 이하 108명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지난해 수혜자가 늘어난 것은 경기교통공사, 경기에너지환경진흥원 등 공공기관 신설과 휴직 대체인력의 수요 증대, 대규모 일자리사업 추진 등에 따라 도 소속 기간제 333명과 공공기관 소속 기간제노동자 913명이 추가된 데 따른 것이라고 덧붙였다.
도는 올해 경제지표와 생활임금 인상률 등을 반영해 2022년 비정규직 공정수당 지급 예산을 지난해보다 5.7% 인상한 25억4백만 원으로 편성했으며, 모두 2085명에게 지원할 예정이다.
김종구 경기도 노동국장은 “비정규직 공정수당 정책연구를 통해 지난해 경기도에 한정되어 추진한 정책이 타 공공기관 뿐만아니라 민간에도 확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