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올해부터 파주·포천 등 접경지역 7개 시·군을 대상으로 지역 주민들이 사업을 직접 발굴하고 운영함으로써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접경지역 주민자생적 마을 활력 사업’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도는 지난해까지 추진해 온 ‘접경지역 빈집 활용 정주 여건 개선사업’이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주민들이 마을 단위로 다양한 소득사업을 벌여 주민과 마을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마을 활력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도가 올해 도입한 마을 활력 사업은 1단계 ‘주민 역량 강화’, 2단계 ‘사업기반 구축 및 마을 종합 개발’ 순으로 단계별로 추진하며, 대상 지역 마을의 역량이 일정 수준 도달하면 다음 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에서는 마을 자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민들에게 맞춤형 교육과 현장포럼 등을 제공해 주민들의 역량 강화와 공동체 활성화를 도모하고, 주민 스스로 ‘마을 개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어 2단계에서는 수립된 시·군별 ‘마을 개발 계획’을 검토해 우수 사업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실시설계 용역 및 시설공사를 추진해 본격적인 마을 개발에 나선다.
경기도는 이번 달부터 1단계 주민역량강화 사업지로 선정된 파주 봉일천리, 양주 연곡리, 포천 기산리, 연천 원당리 등 4개 마을을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연제찬 경기도 균형발전기획실장은 “마을 활력 사업으로 다양한 주민 주도 소득사업을 발굴하고 일자리 창출과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며 “낙후된 접경지역 마을에 활력을 불어넣도록 행정·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