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수도권

무좀, 보일러 고장도 119에?…경기 소방 “비응급신고 자제를”

등록 2022-04-10 10:43수정 2022-04-11 02:00

비응급신고 20년 3248건서 21년 8724건으로
신고를 받고 출동한 119 구급대의 모습.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신고를 받고 출동한 119 구급대의 모습.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보일러가 안돌아가요 집 주인에게 연락해 주세요.” “무좀이 있는데, 양말 실밥이 발가락에 엉겨 막고 있어요.” “택시가 한 시간째 잡히지 않고 있으니 얼른 출동 좀 해주세요.“

올해 1~2월 경기도소방재난본부 119 구급대에 접수된 출동요청 신고 내용이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 119구급대가 이른바 ‘비응급신고’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도 소방재난본부 자료를 보면, 2020년 63만6133건이던 119구급 출동건수는 2021년 74만2871건으로 16.8% 증가했다. 이송 건수는 2020년 36만5919건에서 2021년 40만5839건으로 10.9%(3만9,920건) 늘었다.

이 가운데 응급이송은 36만2671건에서 39만7115건으로 9.5% 증가했고, 외래방문과 단순주취자 등 비응급이송은 3248건에서 8724건으로 168.5%나 폭증했다. 또한, 이송 불필요, 신고 취소, 환자없음 등이 주된 요인인 미이송건수(사망추정 포함) 역시 2020년 27만214건에서 2021년 33만7032건으로 24.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0조는 단순 치통 환자, 지속적인 출혈이 없는 외상환자, 검진 또는 입원 목적의 만성질환자의 이송 요청 등 비응급신고에 대해 ‘구조‧구급 요청의 거절’을 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신고 내용만으로는 정확한 상황을 판단할 수 없어 구급대가 일단 출동하는 경우가 많다.

안기승 경기도소방재난본부 구조구급과장은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와 비응급 신고까지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구급대 출동 건수도 늘고 있다. 비응급 신고로 인해 긴급상황인데도 신속대처를 못 해 자칫 소중한 생명을 잃을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응급환자가 아니라면 119 신고를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어떤 아이든 상관없이 같이 죽으려 했다” 1.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어떤 아이든 상관없이 같이 죽으려 했다”

HDC신라면세점 대표가 롤렉스 밀반입하다 걸려…법정구속 2.

HDC신라면세점 대표가 롤렉스 밀반입하다 걸려…법정구속

“하늘여행 떠난 하늘아 행복하렴”…교문 앞에 쌓인 작별 편지들 3.

“하늘여행 떠난 하늘아 행복하렴”…교문 앞에 쌓인 작별 편지들

대전 초교서 8살 학생 흉기에 숨져…40대 교사 “내가 그랬다” 4.

대전 초교서 8살 학생 흉기에 숨져…40대 교사 “내가 그랬다”

살해 교사 “마지막 하교하는 아이 유인…누구든 같이 죽을 생각” 5.

살해 교사 “마지막 하교하는 아이 유인…누구든 같이 죽을 생각”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