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인율 등 인센티브를 줄이면 지역화폐 사용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정부는 내년 지역화폐 지원 예산을 배정하지 않은 터라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화폐 발행액이나 할인혜택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경기도가 5일 발표한 경기도민 2천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앞으로 경기지역화폐 사용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81%에 이르렀지만, 인센티브 할인율(6~10%)이 줄 경우 지역화폐를 쓰겠다고 답한 비율은 48%로 떨어졌다. 또 응답자의 73%는 ‘지역화폐 사용 혜택이 유지되도록 기존 예산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거나 ‘혜택이 늘어나도록 예산을 증액하는 것이 좋다’고 답했다. ‘혜택이 줄더라도 예산을 감액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은 15%에 그쳤다. 또 응답자의 77%는 경기지역화폐 사업이 앞으로도 ‘계속돼야 한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지역화폐를 사용하는 이유로는 ‘충전 시 6~10% 인센티브·할인 혜택’(69%)을 가장 높게 꼽았다. 이어 ‘지역경제에 보탬’(28%), ‘현금영수증 및 30% 소득공제 혜택’(26%), ‘일반 신용카드처럼 편리해서’(2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1년간 경기지역화폐의 이용처는 ‘슈퍼마켓·편의점·농축협 직영매장’(37%)이 가장 많았고 ‘식당·카페 등 음식점’(29%)이 뒤를 이었다. 월평균 사용액은 16만6천원이었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한국능률협회컨설팅에 의뢰해 인터넷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95% 신뢰 수준에서 표본오차는 ±2.2%포인트다.
경기도는 내년에 국비와 지방비를 합해 지역화폐 구매자에 4760억원(할인율 10%)의 인센티브를 줄 예정이었으나 국비 지원이 중단되면서 재원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국비 지원이 없으면 인센티브를 줄이거나 경기도와 일선 시·군이 예산을 더 부담해야 한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