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본회의장 내부 모습. 경기도의회 제공
경기도 추가경정예산안이 의회 제출 두 달여만에 통과됐다. 늦깎이 추경 예산 처리는 지난 6월 지방선거 이후 경기도의회가 여야 동수로 구성된 데 따라 합의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김동연 경기지사의 정치력이 입길에 오르기도 했다.
경기도의회는 17일 본회의를 열어 경기도와 도교육청의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추경안은 지난 9월8일 의회에 제출된 바 있다. 그간 도의회는 지난 9월29일부터 10월6일까지 열린 임시회에서 추경안을 처리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지난달 21일 연 ‘원포인트’ 임시회에서도 처리가 불발됐다.
14명씩 여야 동수인 도의회 구성 탓에 예산안에 대한 합의가 좀처럼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추경안 처리가 장기화하면서 민생 예산 사업 차질 우려도 불거졌다. 추경안에는 △학교급식 지원, △지역화폐 확대 발행, △난임부부 시술 지원, △고금리 대출을 사용하는 저신용·저소득자의 대환대출 지원 사업 예산이 포함돼 있었다. 일부에선 김동연 경기지사의 조정 능력에 의구심을 드러내는 목소리마저 나왔다.
이날 본회의 처리는 이런 우려가 비등해진 상황에서 지난 15일 마련된 염종현 도의회 의장과 국민의힘 곽미숙 대표, 더불어민주당 남종섭 대표의 회동에서 극적 합의가 이뤄지면서 가능했다. 곽 대표와 남 대표는 이날 “도민들이 어려운 시기에 추경안 처리가 늦어져 죄송함이 크다. 처음 겪어본 여야 동수 구조이기에 여러 시행착오가 있었지만, 이번을 기회로 양당이 최대한 협력하는 모습을 보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추경안 심의 과정에서 김 지사의 공약사업인 지티엑스(GTX) 플러스 기본구상 용역비(12억원)와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의 역점사업인 국제바칼로레아(IB) 프로그램 운영비(14억원)가 모두 전액 삭감됐다.
경기도 도의회는 오는 21일부터 도와 도교육청의 2023년도 본예산안을 심의할 예정이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