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2026년까지 해마다 국공립어린이집을 170곳 이상 조성해 30%대에 머무는 공공보육 이용률을 50%까지 높이기로 했다. 또 현재 320곳인 0살 영아 전용 어린이집을 2027년까지 380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경기도는 이런 내용을 담은 ‘제4차 경기도 중장기 보육발전계획(2023~2027년)’을 수립해 올해부터 시행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현재 1300여곳인 국공립어린이집을 2026년까지 해마다 170곳 이상 확대하면 경기도의 공공보육 이용률을 지금의 34%에서 50%까지 올라간다. 또 기존 공동주택 어린이집을 국공립어린이집으로의 전환할 때 1억2천만원을 지원하고, 국공립어린이집을 열 때는 2천만원의 개원준비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을 위해서도 0살 영아 전용 어린이집을 2022년 320곳에서 2027년까지 380곳으로 확대한다. 0살 영아 전용 어린이집은 세심한 보육이 필요한 0~1살 영아를 위해 교사 대 아동 비율을 1대 2(0살) 혹은 1대 3(1살)으로 줄인 곳이다.
기존의 민간·가정 어린이집에 대한 관리도 강화한다. 올해부터 민간·가정어린이집에는 한곳당 200만~300만원의 환경개선비를 지원하고, 조리원 인건비 지원금액도 월 30만원에서 월 40만원으로 늘린다.
지주연 경기도 여성가족국장은 “저출생의 영향으로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이들은 줄어드는 반면, 학부모 등 수요자의 요구는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중장기 계획에 담긴 생활밀착형 정책을 통해 도내 영유아가 거주지역, 재원 시설 등에 차별 없이 더 많은, 더 고른, 더 나은 기회를 누릴 수 있는 보육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보육발전계획은 가족의 다양성, 저출생 등 보육환경의 변동과 취약 보육, 틈새 보육 등 수요자의 요구 다변화 등의 추세를 반영해 4개 목표, 모두 41개 과제로 구성됐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