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가정폭력·성폭력 신고 때 피해자 초기 상담, 복지 지원, 지원기관 연계 등을 경찰, 민간전문가와 함께 지원하는 ‘가정폭력·성폭력공동대응팀’을 모두 8곳으로 확대 운영한다. 도는 앞서 2021년 11월 경기남부·북부경찰청과 업무협약을 맺은 뒤, 부천·하남시(2021년), 김포·안산시(2022년), 파주시(2023년) 등 5곳에 대응팀을 운영 중이다.
도는 올해 말까지 추가로 3곳을 더 모집해 모두 8곳에서 대응팀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가정폭력·성폭력 발생 시 각 기관들의 개별 대응에 따른 후속 관리 미흡 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공무원, 경찰, 상담전문가, 통합사례 관리사 등이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경기도가 광역 최초로 도입해 시‧군과 협업하는 특화사업이다.
공동대응팀이 설치된 시‧군에서는 112 신고된 가정폭력, 성폭력 등의 피해자와 그 가족에게 학대 전담 경찰관, 상담사, 통합사례 관리사가 초기 전화상담 등을 수행한다. 이후 피해자가 호소하는 문제들에 대한 개입, 현재 폭력의 원인이 되는 상황 등을 제거해 현실적인 욕구들을 지원하거나 해결될 수 있도록 정보 지원 등을 한다.
지난해 부천시, 하남시, 김포시(안산시는 12월 개소로 통계 제외) 공동대응팀에서 지원한 피해 대상자는 모두 3773명(가정폭력 3650명, 성폭력 18명, 스토킹·데이트폭력 38명, 기타폭력 67명)이다. 이들에게 7천여 건의 지원이 이뤄졌는데, 경찰과 통합사례 관리사가 직접 신고가정을 방문한 사례가 101건이며, 심리상담 5567건, 전문기관으로의 연계 지원 1030건, 긴급분리 지원 86건, 법률상담 지원 404건 등이다.
한편 도는 올해부터 긴급 피해자를 상대로 한 △식사비 △다과비 △의복비 △돌봄비 △교통비 등의 지원 항목을 신설했으며, 공동대응팀에는 법무부에서 법률홈닥터(취약계층 대상 법률 서비스 제공)로 활동 중인 변호사들이 매주 1회 방문해 평균 4~5명에게 현장 법률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