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키즈카페 동작구 상도3동점의 모습. 서울시 제공
현재 5곳인 ‘서울형 키즈카페’가 올해 100곳으로 확대된다. 구립보다 규모가 큰 시립 서울형 키즈카페와 공원형, 초등학생 전용 키즈카페 등도 올해 새롭게 연다.
서울시는 13일 서울형 키즈카페를 2026년까지 400곳 조성한다고 밝혔다. 올해는 100곳의 공간을 확보하고, 이 가운데 50곳을 개관한다는 목표다. 서울형 키즈카페는 가격 부담이 덜한 공공 키즈카페다. 지난해 종로구 혜화동, 중랑구 면목4동, 양천구 신정7동, 동작구 상도3동, 성동구 금호2·3가동 등 총 5곳에 개관했다. 식음료 등 판매는 금지해 영리성을 제한하고, 1인당 10㎡이상의 공간을 확보한 게 특징이다.
올해는 5월 자양4동점이 문을 여는 것을 시작으로 8월에는 구립 시설보다 규모가 큰 시립 1호 서울형 키즈카페를 동작구에 개소한다. 9월에는 양천구 오목근린공원에 공원형 키즈카페가, 10월에는 양천 거점형 키움센터점에 초등학생 전용 키즈카페가 첫 선을 보일 예정이다.
서울시는 공공시설뿐 아니라 아파트 단지, 종교시설 등 민간시설에도 서울형 키즈카페를 조성한다. 민간에서 공간을 무상으로 제공할 경우에도 시비를 투입해 서울형 키즈카페로 리모델링할 수 있도록 최대 12억원을 지원한다.
또 올해부터 보육교사 등 전문 돌봄요원이 아이를 잠깐 봐주는 ‘놀이돌봄서비스’도 시작한다. 이 서비스는 돌봄요원 1명이 2∼3명의 아이를 전담해 아이들이 자유롭게 노는 동안 안전사고 등이 발생하지 않게 살피고, 필요한 경우 함께 놀이활동을 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국내 최초로 ‘놀이시설 위험가치평가’를 마련해 서울형 키즈카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선제적으로 예방할 방침이다.
손지민 기자
sj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