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민 10명 가운데 7명가량은 일상에서 불법촬영 피해에 대한 불안감을 느낀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여성과 남성은 각각 공중화장실과 숙박업소를 이용할 때 불법촬영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와 나무여성인권상담소가 17일 내놓은 ‘불법촬영에 대한 시민의식’ 조사 결과를 보면, ‘불법촬영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불안감을 느낀 적이 있는가’라는 물음에 응답자의 69%가 ‘그렇다’라고 답했다. 성별로는 여성 응답자의 80%가 불안감을 느꼈다고 답했고, 남성 응답자의 경우는 이 비율이 57%였다. 여성이 남성보다 불법촬영에 대한 불안감을 더욱 느끼고 있다는 점이 조사를 통해 다시 확인된 것이다.
불법촬영에 대한 불안감이 가장 큰 장소는 숙박업소(43%)였다. 이어 공중화장실(36%), 수영장이나 목욕탕(9%), 지하철(7.6%) 등의 순이었다. 다만, 성별로는 차이를 보였다. 남성은 숙박업소(65%)에서 불안감을 가장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은 공중화장실(52%)을 불안한 장소로 꼽았다.
불법촬영이 의심되는 장소에서 어떻게 행동하는가를 묻는 항목에는 응답자의 61%가 “화장실 등을 이용할 때 구멍 등이 뚫려있는지 확인한다”고 답했다. “카메라가 없는지 사전에 둘러보고 이용한다”(57%), “외부화장실 등은 가급적 이용하지 않으려 한다”(44%)는 답변도 뒤를 이었다. “(불법촬영을)검사할 수 있는 간이용 검사 도구를 갖고 다닌다”(8%)는 응답자도 있었다.
서울시와 나무여성인권상담소가 지난달 23∼29일 만19∼59살 서울시민 1500명을 대상으로 ‘불법촬영에 대한 시민의식’을 설문 조사한 결과. 서울시 제공
시민들은 불법촬영 범죄가 증가하는 이유로 ‘불법촬영 가해자에 대한 처벌부족’(67%), ‘불법촬영이 범죄라는 인식의 부족(62%)’을 꼽았다. 불법촬영 근절을 위한 대책으로도 ‘불법촬영 가해자에 대한 처벌강화’를 71%로 가장 많이 꼽았으며, ‘불법촬영에 대한 법제도 강화(63%)’가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서울시와 나무여성인권상담소가 만19~59살 서울시민 15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3일부터 29일까지 일주일 동안 인터넷 조사로 진행했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2.5%p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