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재정네트워크, 서울시민연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등 11개 시민단체는 22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통과 합의는 박원순 서울시장의 개인 스케줄에 맞춰 하는 행사가 아니다.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을 지금 중단하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채윤태 기자
서울시가 2500억원을 들여 추진하고 있는 광화문광장 재조성 사업 과정에 대해 시민단체들이 “시민들과의 소통과 공론화가 부족하다”며 사업 중단을 요구했다. 이들은 “광장의 재조성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만든 ‘광화문광장시민위원회’조차 사업 계획을 알지 못한 채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서울시는 “시민단체의 지적을 겸허히 수용하다. 앞으로 더 다양하고 폭넓게 의견을 수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민재정네트워크, 서울시민연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등 11개 시민단체는 22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통과 합의는 박원순 서울시장의 개인 스케줄에 맞춰 하는 행사가 아니다. 2021년 5월 준공을 정해놓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을 지금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시민 소통을 위해 설치했다던 광화문시민위원회가 사실상 형식적이고 폐쇄적 운영으로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광화문시민위원회는 지난해 7월 서울시가 새 광화문광장 조성에 관한 시민들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만든 기구다. 도시·역사·문화·시민소통 등 전문가 48명과 시민 위원 100명으로 구성됐다.
서울시의 설명을 들어보면, 광화문시민위원회는 지난해 7월 발족 이후 논의 과제를 발굴하는 등 전문가 중심으로 활동해왔다. 시민들이 함께 참여한 자리는 지난 1월 새 광화문광장 설계 공모 당선작을 설명하는 정기총회, 3월 1분기 워크숍, 6번의 상임위원회 밖에 없었다. 광화문시민위는 56번의 회의를 개최했는데 이 가운데 46번은 전문가들만 참여한 분과회의였다.
시민단체들은 이번 사업의 문제점으로 △기본계획과 중간보고의 비공개 △현재의 광장 형태 결정 과정의 비공개 △주변 상업화와 부동산 투기, 젠트리피케이션(공간 고급화)의 우려 △차량에서 보행자과 대중교통으로의 교통 전환 의문 △수도권급행철도 A노선 역 설치의 비용과 비효율 △월대 복원 등 역사 복원이 필요 여부 등을 지적했다.
광화문시민위원인 시민단체 ‘걷고싶은도시만들기시민연대’ 김은희 센터장은 “시민위위원회는 다양한 의견들은 공유하고 모아나가는 공론화 기능을 해야 한다. 그러나 중요한 쟁점, 과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공론화되지 못하고 있다”며 “예를 들면 왜 광화문광장 계획에 갑자기 수도권급행철도 A노선의 복합역사 사업이 포함됐는지 시민위원들이 모르고 있다”고 비판했다.
서울시는 입장문을 통해 “1월 말 국제 설계 공모 결과 발표 이후 지금까지도 지역 주민과 일반 시민, 전문가로 구성한 광화문시민위원회 및 교통대책위원회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의견을 수렴 중“이라면서도 “귀를 열고 생각을 모으라는 시민단체의 지적을 겸허히 수용하겠다. 앞으로는 더 다양한 소통 채널을 열어 폭넓게 의견을 수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