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광장 국제설계공모 최종 당선작 조감도. 서울시 제공.
광화문광장 재조성을 둘러싼 행정안전부와 서울시의 갈등이 또다시 불거졌다. 지난 1월 김부겸 당시 행안부 장관과 박원순 서울시장의 ‘힘겨루기’ 이후 행안부와 시가 “성공적인 광화문광장 조성을 위해 협력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진영 행안부 장관이 25일 “합의된 것이 없다”고 밝히면서다. 광화문광장 재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서울시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진영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한 오찬간담회에서 서울시의 광화문광장 재조성 사업과 관련한 질문에 “(서울시와) 논의는 상당히 많이 했지만 합의된 것이 없다. 시간을 두고 생각할 부분이 많이 있다”고 말했다. 진 장관은 이어 “당장 구체적인 합의를 하기가 어렵다”고 못박았다. 이는 그동안 ‘행안부와 큰 틀에서 합의를 끝냈다’고 밝혀온 서울시의 입장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두 기관이 광화문광장을 두고 반년동안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시는 진 장관의 발언이 당혹스럽다는 분위기다. 서울시 관계자는 “4월부터 실무협의만 10차례, 청와대 주관으로 차관회의도 3번 했다. 그 과정에 많은 부분 진전이 있었고, 거의 합의 직전이었다”며 “왜 그런 발언이 나왔는지 황당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광장 조성으로 편입되는 정부서울청사 땅과 건물을 세부적으로 어떤 곳과 교환하는지 등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큰 틀에선 합의가 끝났다”고 말했다.
하지만 행안부 관계자는 “서울시는 광화문광장 재조성 공사 일정을 맞추기 위해 도시계획을 변경해야하기 때문에, 행안부를 몰고가는 것”이라며 “도시계획이 변경됐다고 합의된 것이 아니다”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그러면서 “서로 문서도 오간 것이 없다. 내부의견도 조율하는 과정이 남아있다. 서울시는 검토과정을 합의과정이라고 본 셈”이라고 밝혔다.
지난 1월 서울시가 발표한 새 광화문광장 당선 설계안을 두고 두 기관의 수장은 설전을 벌였다. 김부겸 당시 장관이 <한겨레>와 한 인터뷰에서 “서울시의 설계안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히자, 박원순 시장은 <교통방송>(tbs) 인터뷰에서 “새 광장 조성 사업은 청와대와 협력해서 추진해 온 일로 세상에 절대 안 되는 일은 없다”고 날을 세웠다. 이후 두 기관은 같은 달 공동 입장문을 내어 “양 기관은 광화문 광장이 역사성과 시민성, 보행성을 갖춘 제대로 된 광장으로 조성돼야 한다는 공감대를 재확인하고 적극적인 협력을 약속했다”고 밝혔지만 온도차는 여전한 상황이다.
이정규 기자
j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