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민이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지하철 역사에 비치된 손소독제로 손을 닦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서울시민의 63.6%는 정부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시한으로 정한 19일에 곧바로 생활방역체계로 전환하는 것은 이르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지난 10~12일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성·연령·권역별 인구비례표집에 기반해 만 18살 이상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패널조사(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3.1%포인트)를 보면 97%는 오는 19일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가 종료된 뒤 생활방역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생활방역체계는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종료 뒤 전보다 일상생활을 일부 회복하면서 일상과 방역이 조화를 이루게 하는 것으로 정부에서 준비중이다.
그러나 전환 시점에 대해서 63.6%는 “4월19일은 이르다”고 답변했으며 “4월19일부터 바로 전환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33.4%에 불과했다. 오는 19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느슨해지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보는 시민이 더 많은 것이다.
적정한 전환 시점에 대해선 ‘정부가 통제 가능한 대응 체계가 갖춰졌다고 판단할 때’(36.5%), ‘신규 확진자가 10명 이하일 때’(33.8%), ‘신규 확진자가 30명 이하일 때’(19.6%) 순으로 답변이 나왔다.
서울시민 10명 중 7명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우울감을 뜻하는 신조어 ‘코로나블루’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우울한 이유(두 가지 선택)론 ‘상황이 언제 끝날지 모르는 막연함’이 41.9%로 가장 많이 꼽혔고 ‘나와 가족의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염려’(34.6%), ‘외부활동·신체활동 제한’(33.1%) 등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의 48%는 가족의 수입이 감소했다고 답했고 17.6%는 가족 중 한 명 이상이 실직했다고 밝혔다. 특히 자영업자의 경우 수입 감소(72.8%), 가족 중 실직 경험(25.7%) 비율이 사무직 대비 높았다.
송경화 기자
freehw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