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가평군에 남양주시와 포천시 등 경기 동북부 3개 시·군 주민 약 90만명이 함께 이용하는 화장장이 들어설 전망이다.
4일 가평군의 설명을 들어보면, 남양주시·포천시·가평군은 8일 오후 가평군청에서 시장·군수들이 참여한 가운데 가평에 공동 화장장 건립을 추진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예정이다. 이어 8월까지 3개 시·군의 주민·전문가·의회 등이 참여하는 ‘장사시설 건립추진 위원회’를 구성해 사업을 본격 추진할 방침이다.
3개 시·군은 인구가 100만명에 육박하지만 화장장이 없어 그동안 경기 성남, 용인이나 강원도 춘천은 물론 멀리 인제, 속초 등의 장사시설을 이용해야 했다.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자 김성기 가평군수는 지난 지방선거 공약으로 화장장 건립을 약속했다. 하지만 가평군 인구만으로는 이용률이 낮아 비용 대비 효율성이 떨어지자, 같은 처지의 인근 지자체에 공동 건립·이용을 제안했다. 경기도의 화장률은 해마다 증가해 지난해 약 90%를 기록했다.
3개 지방정부의 화장장은 7기 안팎으로 설치될 예정이며 2026년 상반기 완공을 목표로 건립된다. 총 사업비는 510억원으로 추산됐다. 건립 비용과 화장장 건립 지역 주민에게 주는 인센티브 등 사업비와 운영비는 인구수에 따라 공동 부담할 것으로 알려졌다. 3개 시·군의 인구는 올해 3월 말 기준 남양주가 70만5264명으로 가장 많고, 포천 14만7853명, 가평 6만2262명 순서다.
화장장 건립지는 공개모집을 통해 선정한다. 가평군이 지난해 각 읍·면 이장단을 통해 마을별로 유치 의향을 타진한 결과, 3~4개 마을이 광역 화장장 건립을 희망한 것으로 전해졌다. 건립지역에는 인센티브와 마을 숙원사업 지원, 기금 지원, 매점 운영권 등 각종 혜택이 주어질 예정이다.
가평군 관계자는 “예전에는 화장장이 기피시설로 인식됐지만 지금은 깨끗하고 대기오염도 없어 상당수 주민이 복지시설로 인식해 화장장 건립을 희망하고 있다. 화장률이 90%까지 올라간 상태에서 인근 지자체와 공동 대처가 필요했다”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