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월 서울 중랑문화체육관에서 열린 장애인 일자리 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일자리를 구하기 힘든 최중증 장애인을 위해 공공일자리 260개를 만든다.
시는 “올해 시 예산 12억원을 투입해 맞춤형 일자리 260개를 만들어 시범사업을 시작하고, 결과를 토대로 내년부터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이번 공공일자리 대상자는 뇌병변 장애, 척수 장애 등을 가진 최중증 장애인과 보호시설을 벗어나 자립하려는 탈시설 장애인들이다. 최중증 장애인을 위한 공공일자리 사업은 전국 지자체 중 최초의 시도다.
시 관계자는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이 어렵다는 이유로 정부와 지자체의 ‘장애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할 기회를 얻지 못했던 대상들”이라며 “모두에게 헌법이 보장한 ‘노동할 기회'를 준다는 점이 이번 사업의 가장 큰 의미”라고 설명했다.
고용된 이들은 지역사회나 장애인 복지시설에서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활동을 한다. 장애인 권익 향상을 위해 공공시설 등의 모니터링 활동을 하거나,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강의·공연 등도 진행한다.
일자리 참여자들은 장애인단체(법인, 비영리민간단체) 10개소가 6월 중 선발할 계획이다. 월 수당은 정부가 시행 중인 장애인 일자리 사업에 준해 시간제 일자리(주 20시간)는 약 90만원, 복지형 일자리(주 14시간 이내)는 48만원 정도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