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공기업 설립 심의위원회가 지난 8일 경기도인재개발원 세미나실에서 열리고 있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의 대중교통체계를 통합 관리할 경기교통공사가 올해 안에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는 경기교통공사 설립안이 지난 8일 ‘경기도 공기업 설립 심의위원회'를 통과해 공사 설립을 위한 행정 절차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9일 밝혔다.
심의위원회는 지방공기업법에 의거해 관계 공무원, 외부 전문가 등이 모여 적정성, 타당성, 충실성, 수익성, 파급효과 등을 면밀히 검토해 교통공사 설립 여부를 최종적으로 종합 판단하는 절차다.
경기도는 조례 제정, 정관 마련, 임원 공모와 임명, 설립 등기 등의 절차를 완료한 뒤 교통공사를 올해 하반기 안에 출범시킬 방침이다.
설립안을 살펴보면, 경기교통공사는 서울, 인천, 부산 등 다른 시·도의 교통공사와 같은 ‘지방공사' 형태로 1본부, 5개 부서(경영지원부·버스운영센터·준공영운영부·교통시설부·철도운영부), 운영인력 88명으로 출범한다. 자본금 185억원은 올해 추경에 도의회 심의를 거쳐 도가 전액 출자할 예정이다. 주사무소 입지는 균형발전 차원에서 북부와 자연보전권역 17개 시·군을 대상으로 공모로 선정한다.
경기교통공사는 시·군마다 다른 대중교통체계를 통합해 관리하는 교통전담기구로, 경기도가 대중교통 서비스의 공공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한 기구다.
공사 출범 초기에는 수요 맞춤형 버스 운영, 노선 입찰제 버스 준공영제 운영, 철도 운영 관리, 환승시설 구축과 운영 등의 구실을 한 뒤 사업영역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경기도는 교통공사 설립으로 향후 5년간 생산 유발 효과 1323억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 516억원, 고용 창출 효과 1047명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심의위원장을 맡은 유정훈 아주대 교수는 “경기교통공사는 우리나라 광역도 최초로 만들어지는 대중교통 컨트롤 타워라는 점에서 설립을 적극 환영한다”며 “앞으로 공공성 강화라는 목적에 걸맞게 진정한 의미의 교통공사 역할을 충실히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교통공사는 ‘대중교통이 자가용보다 편리한 경기' 실현의 초석이 될 것”이라며 “광역교통난 해결 등 주민이 체감하는 교통정책을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