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들에게 재활·의료서비스를 제공해 사회복귀를 돕는 ‘장애인 공공재활병원'이 서울에 들어선다. 한 시민이 시민참여 플랫폼에 내놓은 제안에 1000명 이상이 공감하면서 정책으로 채택된 것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30일 지방정부 최초로 ‘장애인 공공재활병원’에 대한 타당성 용역 조사와 병원 용지 물색 등의 건립 절차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현재 서울에는 약 40만명의 장애인이 살고 있는데, 대부분 병원이 수익성 등을 이유로 소아재활병동을 폐쇄하면서 제때 재활치료를 받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병원 건립 추진은 지난해 10월 한 시민이 서울시 시민참여 플랫폼 ‘민주주의 서울’에 “서울에는 지역 장애인을 관리할 공공재활병원이 한 곳도 없다”는 내용을 글을 올리면서 시작됐다. 해당 글에 대해 1222명의 시민이 공감을 보냈고, 1120명이 토론에 참여하면서 논의가 활발해지자 서울시가 제안을 정책화하겠다고 답한 것이다.
박 시장은 영상 답변을 통해 “장애인 재활에도 ‘골든타임’이 있다”며 “이번 서울시의 답변이 장애인 당사자와 가족들의 삶을 국가가 책임져 나가는 작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시는 병원 건립까지 긴 시간이 걸리는 만큼 장애 재활치료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공공재활정책을 확대 추진할 방침이다. 특수질환 진료, 장애아동 재활치료시설 등을 포함한 250병상 규모의 공공어린이 전문병원인 ‘강북어린이전문병원'을 2025년까지 건립한다. 또 서울에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 2곳을 추가로 지정하고, 시립병원의 재활의학과 기능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