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수도권의 과밀과 부동산 문제 해결 방안으로 청와대와 국회 등의 세종시 이전이 제기된 가운데, 경기도가 소외지역의 균형 발전을 위한 공공기관 8곳의 이전을 진행 중이다.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 26곳 가운데 경기 남부지역에만 24곳이 집중되는 등 극심한 ‘경기 남북 불균형 해소를 위한 것이다.
경기도는 23일 수원에 있는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과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경기도사회서비스원 등 3개 공공기관을 경기도 내 소외지역으로 이전하기로 하고 시군의 공모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앞서 부천에 있는 경기도 일자리재단은 지난 3일 이전 공고문이 발표돼 현재 공모 접수 중이며 신설되는 경기교통공사는 지난 17일 공모 접수가 마감됐다.
이들 공공기관의 시군 공모는 ‘소외지역 주민들의 특별한 희생에 특별한 보상’을 강조해온 이재명 경기지사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수원 부천 등 경기 남부지역에 집중된 공공기관을 분산 배치해 지역 간 균형 발전과 북부지역 등에 부족한 행정 인프라 구축을 위한 조치다.
이에 따라 응모 대상 시군도 경기 북부지역과 접경지역, 자연보전권역 시군으로 제한된다. 경기도에서는 고양·남양주·의정부·파주·양주·구리·포천·동두천·김포·이천·여주·광주·안성·용인시와 가평·연천·양평군 등 17곳 만이 해당된다.
공모에 선정된 시군은 이전 대상기관과 연계한 종합균형발전계획을 수립하고 기관이 사용할 건물과 부지 등의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공공기관 유치를 위한 해당 시군의 경쟁도 뜨겁다. 경기도 공공기관을 유치할 경우 지역 불균형은 물론 지역 소외감을 덜 수 있고 지역 발전의 계기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17일 마감된 경기교통공사(신설) 주사무소 입주지역 공모에 남양주, 의정부, 파주, 양주, 이천, 용인 등 6개 시가 신청해 6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앞서 경기도는 지난해 12월4일 수원에 있는 경기문화재단과 경기관광공사,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을 2024년 8월까지 경기 고양시에 있는 고양관광문화단지에 이전하기로 했다.
경기도가 소외지역으로 분산 배치하는 8개 공공기관의 근무하는 직원은 모두 529명이다. 경기관광공사 133명, 경기문화재단 80명, 경기평생교육진흥원 20명, 경기교통공사 40명, 경기도 일자리재단 127명, 경기도사회서비스원 24명,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54명, 경기도 환경에너지 진흥원 51명이다.
최원용 경기도 기획조정실장은 “공공기관의 이전을 통해 공정한 광역행정과 경기도-시군의 상생협력 및 지역 간 균형 발전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