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북한에 개풍·개성 일원에 남북 공동의료‧보건 방역센터 설립 등 5개 협력사업을 제안했다. 경기도와의 공동 말라리아 방역과 코로나19 물품 지원 등을 받아들였던 북한의 반응이 주목된다.
이 지사는 17일 오전 온라인으로 열린 ‘2020 DMZ 포럼’ 개회식에서 “남북교류를 통해 신뢰를 회복하고 평화를 정착시켜 번영의 길로 가고자 한다. 그것이 남북 모두에게 이익이라고 믿는다”며 북쪽에 다섯 가지 협력사업을 제안했다.
이 지사의 5가지 제안은 ‘한반도 보건증진을 위한 남북 공동방역과 의료협력’등이다. 이 지사는 “아프리카돼지열병과 코로나19에서 보듯 전염병과 감염병은 국경으로 막을 수 없다. 피해를 막고 모두의 안전을 확보하려면 남북 공동 방역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남북의 방역 역량을 함께 모으고 임상치료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개풍·개성 일원에 남북 공동의료‧보건 방역센터 설립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임진강과 북한강 수계관리 협력을 위해 수해방지와 통합적인 물 관리를 위해 남북 수계관리 기구를 설치하자고도 말했다. 또 비무장지대 안에 개성과 판문점 등과 연계해 남북이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평화공원 조성 등 경기도 접경지역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사업에 대한 남북 공동 조사‧연구를 제안했다.
아울러 남북 공동 산림복원사업과 개풍양묘장 등 농촌종합개발사업을 재개할 것과 대북 수해복구지원 사업도 제안했다. 경기도는 앞서 지방정부 최초로 양묘장 조성 물품과 스마트 온실에 대한 유엔 대북제재 면제 승인을 받은 바 있다.
이 지사는 “연이은 태풍으로 남측의 피해도 크지만, 북측의 피해 역시 매우 심각하다. 같은 민족으로서 동포가 어려울 때 돕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1984년 우리가 큰 홍수 피해를 보았을 때 북측 역시 쌀과 의약품을 비롯한 구호물자를 조건 없이 지원한 것처럼 경기도는 가능한 형편에서 대북 수해복구 지원사업에 함께하겠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2년 전 4월 27일, 남과 북의 정상이 판문점 ‘도보 다리’ 회담에 이어 5개월 뒤인 2018년 9월 19일, 두 정상은 역사적인 평양 공동선언을 발표했지만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북미대화가 성과 없이 끝나고 남북 교류협력의 상징인 ‘남북공동 연락사무소’도 파괴는 성과 없이 끝나버렸고, 남북관계는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이 지사는 그러나 “평화는 저절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 앞서 말한 제안을 실현하려면 북측의 참여가 꼭 필요하다. 경기도는 언제 어디서든 대화할 준비가 되어 있다. 북측의 통 큰 결심과 참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9.19 평양 남북공동선언 2주년을 맞아 경기도가 주최하고 경기연구원, ㈜킨텍스, (사)동북아평화경제협회, 한반도종전평화캠페인이 공동 주관하는 이번 DMZ 포럼은 국내외 석학, 전문가, 평화NGO 등 90여명이 참여해 ‘DMZ는 평화를 원한다’라는 주제로 논의를 진행한다.
17~18일 양일간 △기조연설 △DMZ의 역사적 가치와 보전 등을 다루는 ‘기획세션’ △평화운동NGO가 참여하는 ‘평화운동 협력세션’ △한강하구의 평화적 활용 등을 논의할 ‘특별세션’ △남북 과학기술 협력 등을 다룰 ‘초청세션’ 등을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번 DMZ 포럼은 공식 홈페이지(www.dmzforum.or.kr)에 접속하면 세션 시청 등 관련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