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가 2023년 대한민국 개최가 유력한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 유치를 추진한다.
고양시는 21일 오후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열린 ‘고양시 기후위기 대응 대도시 포럼’에서 COP28 유치를 선언하고, 탄소중립 도시 기반 마련을 위한 고양시의 의지를 널리 알렸다. 포럼에 앞서 사전행사로 고양지역 240여개 시민단체 모임인 ‘고양시 탄소중립 시민실천연대’ 출범식이 열렸다.
고양시와 고양시정연구원이 공동 개최한 이날 포럼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대도시 역할 △고양시 탄소 저감정책 및 추진 방향 △교통부문 탄소 저감 정책 등을 주제로 ‘기후위기 대응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기조연설에서 “고양시는 2030년까지 에너지의 20%를 소규모 분산형 재생에너지와 청정에너지로 전환하고자 한다. 고양시 로드맵에 따르면 10년안에 온실가스 33%가 감축된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고양시는 2년간 104억 원을 투입해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23개 에너지 자립마을을 조성하고, 민간협동조합을 주축으로 시민햇빛발전소 7개소를 건립했다. 또 공공시설, 유휴지를 활용해 소규모 태양광 발전의 거점을 만든 결과 지난 2년간 신재생에너지 설치량이 약 7배 확대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가장 선도적이고 과감한 생태혁명 도시가 될 고양시에서 COP28이 개최돼 가장 빠른 논의와 실천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는 유엔기후변화협약의 최고 의사결정기구로 매년 말 2주 동안 열리며 개최지는 5개 대륙 순환 원칙에 따라 5년마다 대륙별로 결정된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개최 예정이던 영국 글래스고가 내년 11월로 연기했다. 아시아지역은 2023년에 당사국총회가 열린다.
앞서 고양시는 지난 7일 민·관이 참여하는 ‘기후위기 비상상황’ 선포식을 열고, 온실가스 감축, 기후관련 예산 마련, 기후·환경교육 강화, 재생 가능한 에너지 이용 확대 추진 등을 선언한 바 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