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화성시 동탄대로에 건설될 계획인 동탄 도시철도 이미지. 구체적인 사항은 사업계획 수립시 결정될 예정이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에 최초로 도입되는 신개념 교통수단인 ‘동탄 트램'의 밑그림이 완성됐다.
경기도는 동탄2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의 하나로 추진 중인 ‘동탄 도시철도 기본계획(안)'을 확정하고 지난 22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에 승인을 신청했다고 24일 밝혔다.
‘동탄 도시철도'는 사업비 9773억 원을 투자해 수원 망포역∼동탄역∼오산역, 병점역∼동탄역∼차량기지 등 2개 구간에 노면전차(트램)를 도입하는 사업이다.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정거장은 망포∼오산 구간에 19개, 병점∼동탄2 구간에 17개 등 총 36개로, 총연장 34.2㎞에 달한다.
분당선(망포역), 1호선(오산역·병점역), GTX A, SRT(동탄역) 등 주요 철도망의 환승역과 연계돼 동탄새도시 주민이 서울 삼성역까지 평균 35분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원래 계획에 없던 수원 망포역∼화성 반월동 구간(1.8㎞)의 노선 연장이 시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반영됐다.
‘동탄 도시철도'에 투입될 트램은 1편성 5모듈로 246명이 탑승할 수 있다. 구체적인 트램 차량시스템(배터리 방식, 수소 연료전지 방식 등)과 정거장 형식(개방형, 폐쇄형)은 향후 기술개발 동향을 고려하고, 주민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설계단계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이번 계획안을 위해 경기도는 지난해 2월 화성시·오산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타당성 평가와 계획수립을 위한 용역을 진행해왔다. 또 화성시·오산시·수원시가 참여하는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전문가와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했으며, 공청회 등의 행정절차를 신속히 이행해 10개월 만에 기본계획(안)을 도출했다.
기본계획(안)이 올해 상반기 중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로부터 승인·고시되면, 기본 및 실시설계 등의 절차를 거쳐 이르면 2027년 개통을 목표로 2023년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 설계와 건설, 운영은 화성시가 주관하고 오산시, 수원시가 적극 공조하기로 했다.
이계삼 경기도 철도항만물류국장은 “동탄 트램이 도내 최초로 추진하는 사업인만큼 동탄새도시의 품격을 높이고 유럽형 보행친화도시의 모범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