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재원 전국교수노조 평택대 지회장(국제지역학부)이 29일 교육부 청사 앞에서 1인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 전국교수노조 제공
평택대 교수들이 옛 재단의 교비 횡령 의혹과 관련한 교육부의 현장조사를 요구하며 1위 시위에 나섰다.
전국교수노조 평택대지회 교수들은 지난 22일부터 세종시 교육부청사 앞에서 옛 평택대 재단의 교비 횡령 의혹 감사를 요구하는 1인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들은 성추행 혐의로 물러난 재단 쪽 조기흥 전 총장이 사임하기 직전인 2016년부터 이사직에서 해임되는 2018년까지 교비 수십억원을 횡령한 의혹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 의혹은 평택대 임시이사회가 이사와 교수들로 구성된 법인종합감사위원회를 구성해 2019년 1~5월 법인 종합감사를 진행한 뒤 내놓은 보고서에서 처음 제기됐다. 당시 감사보고서를 보면, 조기흥 전 총장 임기만료 직전인 2016년 2월 교내 차세대 통합정보시스템도입 계약을 체결했다. 2016~2017년 대학 누리집을 비롯한 전산시스템을 도입하는 차세대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예산으로는 41억3000만원(소프트웨어 개발비 28억8000만원, 장비도입비 12억5000만원)이 책정됐다.
이는 평택대(4800명)보다 학생 수가 두배 가까이 8404명인 인근 한경대(16억원)에 견줘 2배 이상 많은 금액이다. 또 학생 수가 6배 규모인 충남대가 41억원으로 비슷한 수준이며, 학생 수가 4배 이상 많은 공주대는 19억원에 같은 작업을 진행했다고 한다.
감사보고서는 “통합정보시스템 도입 사업이 사업비 규모의 적정성을 검토하지 않은 채 대학 규모보다 과도하게 산출되는가 하면 불합리한 계약 체결 등의 문제와 더불어 막대한 사업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이 여러 불편을 호소하고 있고 불만족이 해소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연면적 906㎡에 지상 2층 규모 정보통신기술(ICT) 공학관 건축의 문제점도 지적했다. 2017년에 조기흥 총장의 아들인 평택대 기획본부장이 임의 건축 적립금 24억원으로 건축이 가능할 것으로 이사회에 보고했으나, 실제 공사과정에서 설계변경을 통해 공사비는 2배 가까운 41억여원으로 증액됐다는 지적이다. 보고서는 “공사비를 증액하는 과정에서 부족한 자금을 끌어오기 위해 고금리 무보증 대출을 받는 등 교비 지출을 절약할 수 있는 대안이 검토되지 않았다. 당시 이를 무리하게 밀어붙인 유아무개 총장 직무대리 등 학교 관계자들에 배임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도 지적했다.
교육부는 평택대 옛 재단 쪽 조기흥 총장이 성추행 혐의로 구속되자 법인이사 전원의 이사 승인을 취소하고, 2018년 1기 임시이사회를 파견한 데 이어 지난해 12월 2기 임시이사회를 파견해 학교 정상화에 나서고 있다.
선재원 전국교수노조 평택대지회장(국제지역학부)은 “교육부는 옛 평택대 재단 교비 횡령 의혹을 직접 감사해 사학 혁신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평택대 관계자는 “2년 전 감사에서 의혹이 나왔는데 당시 고발도 하지 않았고 공개하라고 했지만 공개도 하지 않았다. 2년간 숨겼다가 지금 자료를 들고 나가서 (일부 교수들이) 파견된지 3개월 밖에 안된 임시이사회를 공격하는 등 사적으로 쓰고 있다”고 말했다. 또 “제기된 의혹은 학교에서 엄밀한 조사를 벌여 필요하다면 수사 의뢰할 것이며 당시 고발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도 직무유기로 고발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평택대의 교비 횡령 의혹과 관련해 평택대에 해당 내용에 대해 조사 결과를 보고하도록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현재 해당 사항과 관련하여 몇 가지 사항을 대학 쪽에 확인 중에 있다. 대학 쪽의 답변 검토 후 별도 조사 필요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