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근식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장이 27일 서울시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기자회견장에서 열린 제1차 진상규명 조사개시 결정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과거 인권유린과 학살, 의문사 사건 등을 조사하는 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가 조사관 채용 의혹과 조사대상 선정 편향 등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한국전쟁전후민간인피학살자 전국유족회(상임의장 윤호상)는 31일 입장문을 내어 “진실화해위원회 인사채용 의혹에 관한 청와대 국민청원 내용은 10년 동안 중단된 과거사 복원을 위해 불철주야 입법투쟁을 전개해왔던 유족들에게 허탈감을 안겨주었다”며 “진실화해위원회 조사개시 결정 기자회견에서 신청 숫자가 가장 많은 민간인학살사건은 거론조차 하지 않았으며 형제복지원을 비롯한 1기 조사위원회가 조사했던 사건만 나열한 것에 실망과 분노를 느끼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유족회는 조사관 채용 등 인사를 전횡한 몸통으로 정근식 위원장의 ‘최측근 인사’를 지목하며 그의 사퇴와 위원장 사과, 민간인학살사건 우선 조사 등을 요구했다.
정근식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장(왼쪽에서 두번째)이 27일 서울시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기자회견장에서 열린 제1차 진상규명 조사개시 결정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앞서 지난 25일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진실화해위의 채용 전횡을 바로잡아달라’는 글이 올라왔다. 청원인은 “가장 투명해야 할 국가기관이 마치 사조직처럼 개인의 선호 중심의 편향이 작동했다”며 “2006년 1기 진실화해위 이래 한국전쟁 민간인학살 문제를 정리하고 조사해 온 조사전문가가 탈락한 대신, 채용된 합격자는 위원회 활동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중도에 정년퇴직해야 하는 인사”라고 주장했다.
이에 <한겨레>는 정근식 진실화해위원장에게 해명을 듣기 위해 수차례 통화를 시도했지만 연결되지 않았다. 한편, 지난해 12월 출범한 2기 진실화해위원회는 지난 27일 접수된 사건들의 조사개시를 결정하며 최대 4년으로 보장된 진상규명 활동에 나섰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