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가 24일 문화재청에 옛 청주시청 본관 보존을 위한 문화재 직권 조사 진행을 촉구하고 있다.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제공
충북 청주시가 옛 청주시청 본관 철거를 본격화하자 충북지역 시민단체가 철거 중단과 문화재청의 문화재 등록을 촉구하고 나섰다. 시민단체는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직접 행동에 나설 계획이다.
충북지역 시민사회단체가 꾸린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24일 대전 문화재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청주시는 옛 청주시청 본관 철거를 중단하라. 문화재청은 청주시청 본관의 문화재 등록을 위한 직권 조사를 진행하고, 문화재로 직권 등록하라”고 밝혔다.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이날 기자회견이 ‘최후통첩’이라고 강조했다. 김혜란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사무국장은 “그동안 청주시와 문화재청에 수차례 옛 청주시청 본관 보존과 문화재 등록을 요구했다. 청주시가 옛 청주시청 본관 철거를 중단하지 않고, 문화재청이 문화재 등록을 미적거리면 시민과 함께 옛 청주시청 본관을 지키는 행동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화재청과 시민단체는 줄기차게 옛 청주시청 본관 보존을 청주시에 권고했다. 문화재청은 지난 2014년 ‘근현대 건축·시설 일제 조사 연구’에서 “한국 전통건축 기법과 시대적 조류를 반영한 의미 있는 건축물이다. 진입부의 아케이드, 기둥으로 뻗어 나가는듯한 곡선 형태의 천정이 특징적”이라고 평가했다. 문화재청은 지난 2015년 문화재 등록 조사 협조 요청에 이어, 2017년 11월 문화재 등록 절차 이행을 포함한 보존 등을 청주시에 권고했다. 이에 청주시는 지난 2018년 본관 보존을 결정했다.
하지만 민선 8기 이범석 청주시장이 들어오면서 본관 철거로 방향을 틀었다. 청주시는 옛 청주시청 본관이 왜색 논란 등으로 문화재 등록에 적합하지 않고, 오래되고 낡아 안전도가 떨어지는 것 등을 철거 이유로 들었다.
문화재청 자문기구인 문화재위원회 9개 분과위원장단은 지난해 11월3일 입장문을 내어 “청주시의 문화재 인식에 우려를 표한다. 청주시는 옛 청주시청 본관 철거를 중단하고 문화재 가치 보존 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도 “청주시의 철거 방침에 변화가 없으면 직권 조사 등에 나설 계획이다. 직권 조사는 문화재 직권 등록을 위한 사전 조사 형식”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문화재청의 후속 조처는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직권 조사를 공언한 문화재청을 지금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문화재 가치 판단이 정치적 판단에 영향을 미친다면 문화재청의 존재 이유는 없다. 아니라면 문화재청은 당장 옛 청주시청 본관에 관한 문화재 등록 직권 조사를 진행하라”고 꼬집었다.
청주시청 철거가 시작됐다. 청주시는 옛 청주시청 본관, 의회동의 석면을 철거한 뒤 건물 철거에 나설 계획이다. 오윤주 기자
한편 청주시 의뢰를 받은 한 업체는 지난 2일 옛 청주시청 입구에 ‘출입금지’ 펼침막을 걸고, 주변에 대형 가림막을 설치한 뒤 본관과 의회동 석면철거 공사를 벌이고 있다. 석면 철거는 건물 철거 전 단계 공사다. 청주시는 다음 달 말이나 4월부터 본관 철거에 나설 방침이다.
청주시는 옛 청주시청 본관 등을 철거하고 주변 청주병원 터 등을 사들인 뒤, 이곳에 2028년까지 3200억원을 들여 새 청사를 지을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옛 청주시청 본관 등을 비우고 주변 문화제조창 등에 마련한 임시 청사에서 업무하고 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