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오전 대전컨벤션센터에서 ‘63주년 3·8민주의거 기념식’이 열리고 있다. 대전시 제공
8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대전시와 국가보훈처 공동 주최로 ‘63주년 3·8민주의거 기념식’이 열렸다.
1960년 3월 일어난 3·8민주의거는 당시 자유당 정권의 횡포와 부패, 인권유린이 극에 달한 상황에서 대전 지역 고등학생들이 중심이 돼 일어난 민주 저항운동이다. 1960년 3월8일 민주당 선거유세에 맞춰 대전고 재학생 1000여명이 시위했고, 3월10일 대전상고 학생 600명도 거리로 나와 시위를 벌였다. 3·8민주의거는 대전·충청권 최초의 학생운동으로, 대구 2·28운동, 마산 3·15의거와 함께 4·19혁명의 기폭제가 됐다. 2018년 국가 기념행사로 지정돼 2019년부터 기념식을 개최했다.
올해 기념식은 3·8민주의거 주역들과 한덕수 국무총리, 이장우 대전시장, 시민·학생 등 800여명이 참석해 ‘민주여, 나의 몸에 푸르러라’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12회 3·8학생백일장 수상 학생 4명의 애국가 제창으로 시작된 기념식에서는 3·8민주의거의 배경과 전개양상, 역사적 의미 등을 조명한 영상이 상영되고, 당시 학생들의 정의감을 표현한 창작 뮤지컬 ‘정의로운 함성’이 공연됐다. 3·8민주의거 주역과 대전고·우송고·보문고·대전여고·호수돈여고 등 후배학교 학생 5명이 함께 기념시인 ‘우리들 세상의 깨어남을 위하여’를 낭독하기도 했다.
한편, 대전시는 3·8민주의거의 정신을 널리 알리기 위해 2024년 개관을 목표로 3.8민주의거 기념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4·19혁명의 기폭제이자, 대전·충청권 최초의 민주화 운동인 3·8민주의거를 기억하고 그 정신을 대전의 시민 정신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며 “3·8민주의거 기념관 건립을 차질없이 추진해 그 역사를 계승·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