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가 10일 청주시청 임시청사에서 이범석 청주시장을 규탄하고 있다. 오윤주 기자
옛 청주시청 철거를 몸으로 막았던 충북 시민단체가 천막 농성을 풀었다. 이에 따라 청주시는 옛 청주시청 본관 철거를 본격화했다.
충북지역 시민사회단체 등이 꾸린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10일 청주시청 임시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불통의 장벽 앞에서 농성을 멈춘다. 하지만 청주시의 일방 행정에 관한 감시와 견제, 행동과 실천은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7일 오전 중장비를 동원한 청주시의 옛 청주시청 본관 철거에 맞서 농성을 이어왔다, 이 단체 소속 활동가 등은 이날 저녁 옛 청주시청 본관 앞에 천막을 치고 철거 중단을 촉구했다. 하지만 3일 만인 10일 낮 12시께 천막을 철거했다. 김성훈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사무국장은 “천막 농성은 중단하지만 앞으로 청주시의 새 청사 과정을 살펴보는 등 감시와 견제 활동은 지속한다. 특히 새 청사 건립 과정에서 설계비 등으로 100억원을 낭비한 부분 등은 꼼꼼하게 살펴 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청주시청사 구본관동 논의 협의체’가 청주시에 어떤 제안을 했는지 대다수 시민은 물론 시의회도 알지 못한 상황에서 철거가 이뤄지고 있으며, 이범석 청주시장은 시민단체의 면담 요청마저 거부했다. 거짓, 무책임, 불통으로 일관한 이 시장을 규탄한다”고 덧붙였다.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가 지난 7일 옛 청주시청 본관 앞에서 철거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제공
앞서 청주시는 지난 7일 “지난 1월부터 5차례에 걸쳐 문화재·역사·건축·구조 등 전문가 등으로 이뤄진 협의체와 본관동 보존 등을 논의했다. 협의체는 △본관동 1층 로비 △와플 슬라브 구조(기둥 보)와 연결되는 일부 파사드 3층까지 보존 △기록화 사업 등을 제안·권고했다”고 밝혔으며, 이날 옛 청주시청 본관 철거를 시작했지만 시민단체의 천막 농성으로 차질을 빚었다.
하지만 시민단체가 농성을 풀자 청주시는 철거를 본격화했다. 10일 오후 1시30분께부터 옛 청주시청 본관 난간 철거에 나섰다.
옛 청주시청 본관은 1965년 강명구 건축가의 설계로 연면적 2001.9㎡, 3층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로 지었다가 1983년 4층을 증축했다. 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등은 이 건물이 문화재적·역사적 가치가 높다며 보존을 주장했지만, 청주시는 “왜색이 짙은 데다 안전하지 않다”는 이유 등을 들어 철거 방침을 정했다.
청주시는 2028년까지 3200여억원을 들여 철거한 터 등 6만3000㎡에 새 청사를 지을 참이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