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대 정의당 국회의원이 4일 충북도청에서 민·관·군 항공정비산업 추진을 제안하고 있다. 오윤주 기자
국가 전략자산인 에프-35(F-35) 전투기 등 군용 항공기와 민간 항공기를 함께 정비하는 민·관·군 항공정비산업(MRO)을 추진하자는 주장이 나왔다.
김종대 정의당 국회의원(비례)은 4일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가 주도하고 민·관·군이 협력하는 항공정비산업을 추진해야 연간 2조원이 넘는 국부 유출을 막을 수 있다. 항공정비에 있어 민항기와 군용기는 정비 인력·기술·시설 등이 사실상 동일해 군과 민이 융합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항공정비산업의 거점으로 청주공항을 주목했다. 그는 “청주는 국제공항, 축구장 60개 규모의 에어로폴리스 단지가 있다. 또 국가 전략자산인 F-35의 모기지인데다 청주공항을 모항으로 한 저가 항공사가 출범을 앞두는 등 항공정비산업 적합도 전국 최고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지난 3월39일 청주의 한 공군기지에 F-35 전투기 2대가 배치됐으며, 추가 도입이 이뤄질 전망이다.
안보전문가로 알려진 김 의원은 전략자산인 F-35 전투기의 자체 정비도 주장했다. 그는 “지금 F-35 전투기 2대가 청주에 배치돼 있지만, 미국 전투기 제작사와 기술 이전 문제 때문에 정비는 일본에서 이뤄지는 실정이다. 앞으로 4~5년 뒤 40대, 이후 60대까지 늘어나면 정비권한을 확보해 자체 정비하는 게 바람직하다. 대일 안보 종속에서 벗어나고, 안보 자주성 확보를 위해서도 자체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항공정비산업이 뿌리내리면 해마다 수조원 안팎의 국부 유출을 막고, 양질의 일자를 만들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놨다. 그는 “지금 우리는 전투기 430여대, 헬리콥터 600여대, 지원기 100여대, 민항기 426대 등을 보유하고 있는데 지난해 기준으로 5조1천억원 정도의 항공정비 매출이 발생했다. 하지만 이 가운데 민간 항공기가 1조7800여억원, 군 항공기 4800여억원 등 2조2600억원 규모의 항공정비를 국외에서 진행한다. 정부 주도 항공정비산업이 안착하면 국부 유출을 막고, 1만명 안팎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달 26~29일 싱가포르 항공정비업체와 과학기술청 등을 방문했으며, 다음 달 1일 국회에서 ‘군 MRO의 민간 융합 촉진을 위한 혁신성장 방안’ 토론회를 열 참이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싱가포르 항공정비업체 에스티에이 관계자(왼쪽)가 김종대 정의당 의원(오른쪽 둘째) 등에게 항공정비산업 등을 설명하고 있다. 김종대 의원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