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주시가 충북지역 일간지에 낸 도시공원 일몰제 관련 광고.신문광고 갈무리
충북 청주시가 유튜브, 신문 광고, 전단 등을 통해 도시공원 일몰제 관련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청주도시공원지키기대책위원회 등 시민단체 쪽은 시가 아파트 신축 위주의 민간 특례 개발 당위성을 시민들에게 주입하고 있다며 중단을 요구했다.
청주시가 만든 유튜브 동영상 ‘도시공원 일몰제 오해와 진실’이 인기다. 지난 15일 게재한 4분 2초짜리 동영상은 18일 오후 4시까지 조회 수 1320회를 기록했다. ‘2020년 7월1일 도시공원 일몰제가 다가온다’는 문구로 시작하는 동영상은 도시공원 일몰제 관련 내용을 주고받는 가족극 형태다. 도시공원 일몰제 주무 부처인 청주시 공원조성과의 한 주무간이 시나리오를 쓰고, 청주시청 직원과 가족 등이 재능기부 형태로 출연했다. 청주시 관계자는 “방송 작가 출신 직원이 시나리오를 쓰고, 직원들이 무료 출연해 수천만 원 상당의 제작 비용을 아낄 수 있었다. 도시공원 일몰제 관련 내용을 알기 쉽게 설명해 시민들의 반응이 좋다. 2탄, 3탄 제작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도시공원 민간 특례 개발에 반대하는 시민단체 쪽은 곱지 않은 시선을 보인다. 신경아 청주도시공원지키기 대책위 집행위원은 “청주지역 도시공원 문제를 객관적으로 바라본 게 아니라 아파트 건설 위주의 민간 개발의 당위성을 시민들에게 일방적으로 주입하려는 듯한 내용이다. 홍보를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충북지역 시민사회단체 등이 꾸린 청주시민 행동비상대책위원회가 15일 청주시청에서 청주시가 여성공무원 등을 동원해 시민단체 등의 출입을 막은 것 등을 항의하고 있다. 청주시민 행동비상대책위원회 제공
앞서 청주시는 ‘청주시는 공원을 최대한 지켜내겠습니다’라는 제목으로 지역 일간지 신문 광고 홍보도 하고 있다. 일간지 1면에 실린 광고를 보면, 도시공원 일몰제가 시행되면 갈 수 있는 길은 세 갈래라며, 공원 해제는 ‘토지주의 사유재산권 행사로 난개발, 등산로가 사라질 수 있다’, 매입은 ‘예산이 턱없이 부족해 시민이 빚을 져야 하는 부담이 있다’, 민간 개발은 ‘30%의 아쉬움이 있지만 70% 이상의 숲을 지킬 수 있다’고 홍보한다.
청주시가 아파트 단지 등에 배포하고 있는 홍보 전단 ‘2020 사라지는 우리 동네 공원 바로 알기’도 내용은 비슷하다. 신 집행위원은 “적지 않은 예산을 들인 일간지 신문 광고, 전단 등이 민간 개발을 홍보하는 편협한 내용이어서 수차례 중단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시민단체 쪽과 공동 제작하거나, 시민 공론화를 통해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효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국장도 “시민단체 등과 도시공원 일몰제 관련 민관 거버넌스(협치기구)를 만들어 합리적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공언한 청주시가 뒤로는 아파트 신축 중심의 민간 개발 정책을 일방 홍보하고 있다. 편협한 홍보, 민간 개발 절차 등 행정 행위를 중단하지 않으면 거버넌스 구성도 어려울 것”이라고 꼬집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