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발전 지방분권 충북본부가 19일 충부도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충북지역 의대 정원 현실화를 요구하고 있다.오윤주 기자
의료 기관·인력 등이 전국 최하위 수준인 충북도가 충북지역 의과대학 정원 확대 등 의료 인력 확충을 정부에 요구하고 나섰다.
균형발전 지방분권 충북본부는 19일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충북은 의료 기관, 의료 인력 등이 전국 최하위권으로 의료 서비스 또한 하위권이다.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의료 인력을 현실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2017년 국가통계포털과 보건복지부 국민보건의료실태 조사 등을 보면, 충북은 의사 수(2417명) 전국 14위, 의료 기관(1751곳) 전국 13위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구 1천명 당 입원환자 연평균 증가율(7.3%)과 의료 지식·기술 등을 고려해 보건 의료 서비스를 통해 피할 수 있는 사망 비율인 치료 가능 사망률(58.5%)은 전국 1위였다.
이들은 의대 정원 현실화를 통한 의료 인력 확충을 요구하고 있다. 충북대 의대(49명), 건국대 충주 글로컬캠퍼스(40명) 등 충북지역 의대 정원은 89명이다. 균형발전 지방분권 충북본부는 “건국대가 의대를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면서 서울 캠퍼스에서 의대를 운영해 충북의 의대 정원은 사실상 49명이다. 인구가 비슷한 강원(267명), 전북(235명) 등에 견줘 턱없이 적다. 균형발전 차원에서 의대 정원을 현실화해 안정적으로 의료 인력을 수급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충북도도 의료 인력 확충 요구에 나섰다. 이시종 충북지사는 지난 8월 27일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을 찾아 전국 평균 수준의 의대 정원 확대를 요구했다. 충북의 의대 정원(89명)은 울산·제주(각 40명) 등과 더불어 전국 최하위권이다. 충북은 인구 10만명당 5.57명인 현재 의대 정원을 비수도권 평균 의대 정원 수준(10만명당 9명)으로 현실화할 것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 기준에 맞추면 89명인 충북의 의대 정원을 144명으로 늘려야 한다. 안창복 충북도 청소년정책담당관은 “충북지역의 의료 서비스가 전국 최하위권 것은 의대 정원과 관련이 있다. 의대 정원이 많지 않아 충북지역 인재 역외 유출 현상도 심각하다. 의대 정원을 현실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