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종 충북지사(앞줄 왼쪽 다섯째 노란 상의) 등이 지난 4일 충북도에서 감염병 신속 대응 협의회를 꾸리고, 기술 정보 등의 교류를 약속했다.
코로나19 확산 속에 감염증 치료제·백신 개발 기반을 마련하고, 정부·기업체 등의 지원을 유도하는 감염병 신속 대응 협의회가 꾸려졌다.
5일 충북도의 말을 종합하면, 오송·오창지역 보건 분야 국책 기관·연구소·대학 등이 ‘감염병 신속 대응 추진협의회’를 지난 4일 꾸렸다. 협의회에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오송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창분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충북대(의대·약대), 청주의료원, 충북도 의사회·약사회 등 15곳이 참여했다.
충북 오송·오창엔 보건의료 분야 국책 기관, 연구기관, 기업 등이 집적돼 있어 감염병 위기 극복을 위한 치료제·백신·진단키트 연구·사업화의 최적지로 꼽힌다.
이시종 충북지사는 이날 “코로나19 같은 감염병은 백신·치료제 개발에 많은 시간·비용이 필요하고, 개발 초기엔 경제성이 낮아 민간 차원에서 대응하기 어렵다. 산·학·연과 병원 등이 연계해 지속적·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감염병 발생 현황과 국내·외 신약, 의료기기 개발 동향 공유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 개발 협력 △신약·기기 연구 개발 지원 등의 일을 하기로 했다.
특히 안전성은 있지만, 효능이 입증되지 않아 허가받지 못한 약물의 효능을 규명해 신약을 개발하는 ‘약물 재창출’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등 감염병 진단·치료·백신 개발과 사업화 기반 구축을 단기 과제로 추진하기로 했다.
박용식 충북도 바이오산업과 주무관은 “협의회는 감염병 관련 치료제·백신 등 기술 개발을 위해 정부, 기업, 연구기관, 대학 등의 자본·기술·정보 등을 연결하는 다리 구실을 할 계획이다. 감염병 분야 인프라 구축과 기업 등의 제품 상용화 등과 관련한 다양한 시책도 발굴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사진 충북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