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 마을 한복판에 들어설 문화산업단지가 가시화하고 있다.
충북 청주시는 한국전통공예촌 복합문화산업단지 조성사업(공예촌 사업)이 국토교통부의 2020년 산업단지 지정계획에 반영됐다고 19일 밝혔다. 지난해 9월 문화산업진흥기본법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산업단지 지정·승인을 받은 데 이어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토부의 산업단지 지정계획에 반영되면서 공예촌 사업은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사업 시행자인 한국전통공예산업진흥협회는 다음 달 산업단지 계획 승인 신청을 하면 청주시 등은 주민 설명, 부처 협의 등 승인 절차를 마무리하고, 충북도의 통합 심의를 거쳐 내년 상반기께 착공한다.
공예촌 사업은 공예진흥협회, 청주시, 충북도 등이 함께하는 사업으로 2023년 말까지 청주시 미원면 쌍이리 30만4039㎡에 복합문화산업단지를 조성하는 것이다. 기존 문화산업단지가 청주, 강원 춘천 등 도심에 있는 것과 달리 이 공예촌 산업단지는 농촌 한복판에 조성된다.
1단계 산업단지 조성 등에 국비 102억5천만원이 투입되고, 2단계 건축·지원시설 건립 때 농산물센터 신축 등에 지방비 120억5천만원(도비 47억8천만원, 시비 72억7천만원) 등을 들일 계획이다. 하지만 전체 사업비(2746억원)의 90% 이상은 민간 자본이다.
특히 이 공예촌에는 공예 관련 무형문화재, 장인 등이 주거와 작품활동을 하는 공방이 함께 조성된다. 안상학 한국공예진흥협회 본부장은 “목공예 무형문화재 소병진, 한복 침선장 김인자, 박공예 명장 강은수, 대목장 신응수 선생 등 30명이 입주하기로 했다. 전국의 공예 업체 133곳이 입주 의향서를 냈으며, 사업 진행 상황에 따라 100곳 안팎의 업체를 선정해 공방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공연장, 상업시설, 한옥 호텔 등이 들어선다. 또 공예촌 주변 농민들이 염색 공예 재료로 쓰이는 치자, 산수요, 오미자 등을 직접 재배해 공예인·공방 등에 납품하거나, 관람객에게 직접 판매하는 농산물센터도 들일 참이다. 양주희 청주시 문화예술과 주무관은 “공예촌 사업은 공예인, 주민 등이 함께하는 상생 사업이다. 도심이 아닌 시골에 공예인이 정착해 주민이 공급하는 재료 등으로 작품활동을 하고, 시민들이 감상·구매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복합 문화공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사진 청주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