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1일 충남 서천군 신성리 갈대밭 인근에 유람선 홍보 간판이 붙어 있다. 금강 하구와 가까운 신성리 갈대밭 근처에서 소규모 관광선을 운영하는 민간 사업자가 설치한 것이다.
4대강 보들을 철거하거나 상시 개방해 강을 재자연화하는 논의가 이뤄지는 가운데, 국토교통부와 충남도가 금강보들을 유지하고 강바닥을 파내 유람선을 띄우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부와 충남도는 금강을 정비해 유람선을 띄우는 방안이 포함된 ‘금강천리 발길따라 지역매력 살리기 사업(이하 금강천리 사업) 시행방안’을 마련해 지난 12월 최종 연구보고서를 냈다. 국토부의 ‘내륙 첨단산업권 발전종합계획’에 넣을 사업을 발굴하기 위해 만든 이 보고서를 보면, 2021~2025년 사이 204억원을 들여 충남 공주·논산·부여·서천·청양을 지나는 금강 유역을 정비하고, 유람선 등을 띄우기 위한 선착장 신설·보강 등에도 238억을 투입한다.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지난 3일 더불어민주당 ‘코로나19 국난극복위원회’ 충청권 간담회에서 ‘금강천리 사업’을 도의 미래산업 과제 중 하나로 소개하며 당의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특히 금강하굿둑에서 약 4.5㎞ 떨어진 서천 금강대교~백제보, 백제보~공주보, 공주보~세종 청벽나루 등 약 100㎞ 금강 구간의 바닥을 파내 뱃길을 내게 된다. 뱃길에 신규 유람선 6척(50t 1척, 20t 5척)과 기존 부여의 황포돛배를 정비한 2척, 수륙양용차 2대, 소형 관광보트 15척, 줄배 1척 등을 띄우게 된다.
충남 부여 구드래공원 인근 일부 구간에서만 운영 중인 황포돛배 모습. ‘금강천리 사업’은 강바닥을 파내 이 황포돛배보다 큰 50t 규모의 유람선을 띄우려는 것이다.
보고서는 일부 구간에 53만4천㎥ 규모의 준설이 필요하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이 시행방안 연구에 참여한 충남연구원 관계자는 “시행방안에 적힌 준설 규모는 예산을 고려해 제한적으로 일부 구간을 예시한 것”이라며 “시행방안에 나온 대로 백제보와 공주보 넘어서까지 사업이 추진되면 훨씬 더 많은 양의 모래를 퍼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유람선 사업이 강 재자연화를 어렵게 할 것으로 우려한다. 백경오 한경대 토목안전환경공학과 교수는 “강 수위가 낮아지면 배를 띄울 수도 없고 물 위에 설치한 선착장 등 배 관련 시설도 망가지게 된다”며 “강에 유람선 등을 띄우면 보와 관련한 또 다른 이해관계를 만들어 보 철거·개방 논의를 어렵고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태정 국토부 해안권발전지원과장은 “금강권역의 지역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사업을 개념화하고 구상한 차원이다. 구상했다고 바로 사업화되는 것은 아니다”며 “보 문제도 있지만 각 시군과 자문위원들이 5개 시군을 연계할 사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줘 (뱃길) 방안을 집어넣게 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 시절 들어선 4대강 보들은 물길 흐름을 막아 해마다 녹조가 창궐하는 등 수질을 악화시키고 주변 생태계를 파괴하는 주범으로 꼽혀왔다. 환경부는 지난해 4월 금강의 세종보와 공주보는 철거하고 백제보는 상시 개방하는 권고안을 내놓은 바 있다. 금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금강 보 처리 방안과 관련해 다음달 초까지는 국가물관리위원회에 의견을 낼 계획이다. 이후 국가물관리위원회가 유역물관리위원회의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최종 결정을 내리게 된다.
박창근 가톨릭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뱃길 구상은 바닥에 썩은 펄이 쌓여 생물체도 못 사는 강 위에서 뱃놀이하겠다는 격”이라며 “금강의 자연성을 어떻게 회복할지에 대한 큰 그림 속에서 거기에 부합하는 지역 활성화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글·사진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