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도시계획위원회가 오창 후기리 소각시설 입안 제안을 거부했다.
다목적 방사광 가속기 구축이 예정된 충북 청주 오창 후기리 소각시설 설치가 불허됐다. 주변 주민들은 환영했지만, 업체 쪽은 납득하기 어려운 결정이라며 반발했다.
충북 청주시는 오창 후기리 소각·파분쇄 시설 입안 제안을 거부 결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앞서 사업 시행자인 (주)이에스지청원은 지난해 12월1일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후기리 산74 일원 4만8752㎡에 파분쇄시설(하루 160t), 소각시설(하루 165t) 등을 설치하는 계획을 청주시에 제안했다.
이에 청주시는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었다. 도시계획위는 △청주시 도시 정책 부합성 △입지 적정성 △소각·폐기물 처리 현황과 추가 필요성 △주민 여론 △미세먼지 저감 정책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청주시는 “도시계획위는 자문 결과 입지 여건이 부적합하고, 소각시설 추가 설치 필요성이 없다는 부적정 의견이 제시됐다. 관련 법률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제안을 반영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청주시의회가 지난해 2월 오창 후기리 소각시설 관련 환경영향평가에서 조건부 동의 결정을 한 금강유역환경청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었다.
주민들은 환영했다. 홍성민 오창 소각장 반대 대책위원회 사무국장은 “소각장이 예정된 곳은 국책 사업인 다목적 방사광 가속기 후보지에서 1㎞도 떨어지지 않은 곳이다. 소각장이 들어서면 방사광 가속기는 물론이고, 연구시설, 주거시설 등이 모두 들어오지 못한다. 청주시가 현명한 결정을 했다”고 밝혔다.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5월8일 오창 후기리 등 오창 테크노폴리스(53만9000㎡)를 다목적 방사광 가속기 구축 후보지로 결정했다. 방사광 가속기는 신약 개발, 바이러스 구조 관찰 등에 쓰이는 미래 산업 발전의 핵심으로 꼽힌다.
박영규 청주시 도시계획과 주무관은 “도시계획위원회가 방사광 가속기와 연구시설 후보지와 인접한 입지 여건 등을 반영해 소각장 추가 신설을 불허한 것으로 안다. 또 청주에는 이미 폐기물 소각시설 6곳에서 하루 1458t을 처리하는 등 전국 폐기물 처리 용량(7979t)의 18%를 점유하는 등 포화상태에 이른 점도 반영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업 시행자인 이에스지청원 쪽은 반발했다. 이에스지청원 관계자는 “금강유역환경청에서 사업 적정 통보를 받는 등 법적 절차를 거쳐서 사업을 추진했다. 애초 청주시 요청으로 사업 예정지를 이전하려는 것이지 신설하려는 게 아니다. 청주시의 불허 결정을 납득하기 어렵다. 청주시의 공식 문서가 오면 검토한 뒤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