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오전 충남 내포시 충남학생교육문화원에서 열린 6월 항쟁 제34주년 충남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이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합창하고 있다. 충남도 제공
‘4·13 호헌조치를 철회하고 공정한 경쟁을 통한 대통령 직선제를 쟁취’한 1987년 6월 항쟁 34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10일 대전, 충남, 세종에서 거행됐다.
대전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대전본부,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세상을바꾸는대전민중의힘 등 민주시민단체는 이날 오전 10시30분 대전엔지오센터에서 6월항쟁 34주년 기념식 ‘민주주의 바람되어, 열사에서 일상으로’ 기념식을 열었다.
충남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는 이날 충남도와 함께 내포시 충남학생교육문화원에서 기념식을 개최했다. 전장곤 충남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이사장은 경과보고를 통해 6·10 민주항쟁의 전개와 의미를 되짚어보고 민주주의 정신이 생활 속 곳곳에 뿌리내려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기념식에는 미얀마 활동가도 참석해 쿠데타 세력이 자행하고 있는 민주시민 학살, 감금, 투옥 상황을 전하고 연대와 지지를 호소했다.
세종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와 세종시도 이날 오전 10시 세종시청 여민실에서 기념식을 열었다. 양동철 세종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이사장은 “87년 6월 항쟁 당시 시민이 원하던 민주주의의 가치는 이제 인간의 존엄성 회복과 자유, 평등으로 바뀌고 있다”고 새로운 민주주의의 지향점을 제시했다. 이날 저녁 7시에는 세종시호수공원 수상무대섬에서 세대공감 문화토크 콘서트 등 ‘6·10 그날, 그리고…’ 문화제가 열린다.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대전본부는 이날 오후 2시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반인권·반민주·반통일 악법인 국가보안법을 폐지하라”고 촉구한다. 이 단체는 앞서 배포한 기자회견문에서 “국가보안법이 존재하는 한 민주인권 사회, 한반도 평화통일을 이룰 수 없다”며 “6·10민주항쟁 정신을 계승하고 민주주의를 완성하려면 국가보안법 폐지가 반드시 전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율현 대전민중의힘 상임대표는 “지난달 10일 시작한 ‘국가보안법 폐지 10만 국민동의청원’이 9일 만에 달성됐으나 경찰과 국가정보원은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더불어>를 출판한 김승균 대표에 대한 압수수색, 4·27시대연구원 이정훈 연구원 구속, 청주지역 활동가들에 대한 대대적인 압수수색 등 탄압을 자행했다”며 “대전지역 국회의원들은 21대 국회에서 국가보안법이 폐지되도록 국가보안법폐지특별법안 공동 발의에 동참하라”고 요구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한겨레 충청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