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해결을 위한 충북시민대책위원회 등이 15일 환경부 앞에서 청주 북이면 주민 건강영향 조사 재조사를 요구했다.
“알마나 더 죽어야 정신 차리나. 환경부는 북이면 집단 암 발생 원인을 전면 재조사하라.”
미세먼지해결을 위한 충북시민대책위원회(미세먼지 충북 대책위)와 청주 북이면 장연리, 옥수리 주민 등은 15일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앞에서 ‘북이면 소각장에 면죄부를 준 환경부 규탄한다’고 적힌 펼침막을 앞세우고 이같이 주장했다.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등이 꾸린 미세먼지 충북 대책위는 “환경부가 벌인 주민 건강영향 조사는 소각시설의 이익을 대변하고, 업체에 면죄부를 줬다. 다시 조사해 주민이 납득할 만한 자료와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환경부의 책무”라고 밝혔다.
앞서 북이면 주민 1523명은 지난 2019년 4월22일 환경부에 소각시설 관련 주민 건강영향 조사를 청원했다. 북이면 주민협의체는 “1999년 북이면 일원에 소각장이 들어선 뒤 10년 사이 암으로 60명(폐암 31명)이 숨졌으며, 호흡기·기관지 질환자 45명이 발생했다. 소각장이 의심된다”고 밝혔다. 청주 북부권인 북이면엔 1999년 ㅇ업체가 하루 15t 규모의 소각시설을 운영한 이후 ㅋ, ㅌ 업체가 가세하면서 2017년 기준 하루 소각 용량은 543.8t으로 늘었다. 이는 전국 폐기물 소각 용량 6.5%다.
주민 청원에 따라 환경부는 2019년 12월부터 지난 3월까지 조사를 진행했고, 지난달 13일 “소각시설 배출 유해물질과 암 발생 역학 관련성을 입증할 만한 과학적 근거가 제한적”이라고 결과를 밝혔다.
미세먼지해결을 위한 충북시민대책위원회 등이 15일 환경부 앞에서 청주 북이면 주민 건강영향 조사 재조사를 요구했다.
이에 미세먼지 충북 대책위는 “지금도 주민 40명 이상이 호흡기나 기관지 질환을 앓고 있고, 암 환자도 10년 사이 4배나 늘었다. 환경부는 소각시설이 들어선 뒤 주민들의 건강이 악화했다는 의혹을 해소하고, 주민들의 일상을 지키는 의무를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주민, 전문가 모두 인정하지 않는 환경부의 주민건강영향조사는 폐기하고, 청주시민이 수용·납득할 수 있게 재조사를 하라”고 촉구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사진 미세먼지해결을 위한 충북시민대책위원회 제공
▶한겨레 충청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