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군송전탑반대대책위원회·횡성군송전탑백지화위원회가 13일 오전 강원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동해안~신가평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사업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다.
한국전력이 추진하는 동해안~신가평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에 반대하는 홍천·횡성 주민들이 사업 백지화를 요구하며 공동 투쟁에 나섰다.
홍천군송전탑반대대책위원회·횡성군송전탑백지화위원회는 13일 오전 강원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청정 백두대간을 훼손하고, 주민 생존권을 위협하는 송전탑 추가 건설 사업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홍천·횡성 주민들은 이미 20여년 전에 세워진 송전탑 때문에 생명과 건강을 위협받고, 막대한 재산 손실과 산사태 등 수많은 고통을 감수했다. 그런데도 정부와 한전은 송전탑을 추가 건설하겠다고 주민을 겁박하고 있다”며 “한전은 입지선정위원회를 앞세워 민주적 절차를 무시하고, 엿가락 주무르듯 경과 대역을 임의로 조작해왔다. 또 주민을 분열시키고, 마을 공동체 파괴와 지역 간 싸움을 노골적으로 조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남궁석 홍천군송전탑반대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이미 가동 중이거나 완공을 앞둔 발전소 전기는 기존 선로에 연결하기 위한 공사가 이미 진행 중이다. 신설하려는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로 보낼 전기가 없다. 더는 농촌이 수도권의 희생양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최현진 횡성군송전탑백지화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정부는 기후위기를 초래하는 대규모 석탄 발전과 장거리 송전 방식을 중단하고, 지속가능한 발전 사업과 송·변전 방식으로 에너지 정책을 전면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제가 된 송전선로는 길이 220㎞에 송전탑 약 440기 규모로, 신한울 원전 1·2호기와 강릉·삼척 화력발전소 등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해 필요하다며 한전이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글·사진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