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민사회단체네트워크 등 시민단체들이 지난 23일부터 레고랜드 계약 파기와 행정조사권 발동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단식 농성에 들어갔다.
시공사 재선정 문제로 위기에 처한 춘천 레고랜드 사업이 이번엔 투자금 분담 적정성 논란에 휩싸였다.
25일 강원도와 강원중도개발공사의 설명을 종합하면, 레고랜드 해외투자사인 영국 멀린사는 최근 새 시공사와 1384억원 규모의 춘천 레고랜드 테마파크 공사 계약을 체결했다.
멀린사는 지난해 말 투자 확대를 약속하고 춘천 레고랜드 테마파크 시행권을 강원중도개발공사(강원도 대주주)로 부터 넘겨 받았다. 지난해 12월 강원도와 멀린이 체결한 총괄협약에는 멀린이 1800억원, 엘엘개발(옛 강원중도개발공사)이 800억원을 투자하기로 돼 있다. 결국 멀린의 실제 계약 금액이 총괄협약에 견줘 400억원 이상 줄어든 것이다.
하지만 멀린은 강원중도개발공사에 투자금 800억원(200억원 기투자) 전액을 납입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강원도는 멀린 쪽에 총괄협약에 따른 나머지 잔액에 대한 추가 투자 계획에 대해 답변을 달라고 요청한 채 잔금 지급을 미루고 있다.
멀린의 투자 축소 의혹이 불거지자 강원도의회와 시민단체 등의 반발도 커지고 있다.
강원도의회 자유한국당 소속 의원들은 이날 오후 도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최문순 강원지사에게 레고랜드 사태를 책임질 것을 촉구했다.
도의원들은 “총괄협약보다 줄어든 금액으로 계약을 한 것은 명백한 잘못이다. 600억원 추가 송금을 해선 안된다. 이를 무시하고 송금할 경우에는 위법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경고했다.
신영재 도의원은 “최문순 도정에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동조하는 민주당에 의해 도의회는 집행부 견제라는 본연의 기능 조차 찾아볼 수 없는 의회로 전락했다. 도의회는 행정사무조사권 발동에 협조해 레고랜드 사태를 도민 앞에 명명백백하게 밝히는데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단체들도 총괄개발협약 파기와 강원중도개발공사 사업비 분담 잔금 600억원 지급 중단 등을 요구하며 도청 앞에서 무기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오동철 춘천시민사회단체네트워크 운영위원장은 “사업의 투명성과 도민의 이익이 전제돼야 한다. 하지만 레고랜드는 거짓과 자기 이익 챙기기에 혈안이 된 이들에게 밥상을 차려주고 아랫목까지 내주는 사업으로 전락했다”고 비판했다.
한편, 레고랜드 테마파크는 춘천 의암호의 섬인 중도 129만1434㎡의 터에 레고를 주제로 한 놀이공원과 호텔, 상가, 워터파크, 아웃렛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글·사진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