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부대 해체와 재배치를 뼈대로 한 정부의 ‘국방개혁2.0’에 따라 강원도 접경지역에 3750명의 간부가 추가 배치되지만, 분만 가능 산부인과가 한 곳도 없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강원도가 도의회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국방개혁에 따라 양구 2사단과 27사단이 각각 올해와 2022년 해체된다. 또 철원에 주둔하는 6사단은 2024년까지 경기 포천으로 이동한다. 강원도는 부대 해체와 재배치로 병사 2만5900명이 줄어드는 대신 간부가 3750명이 늘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국방부는 이들 간부가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철원 3232가구, 화천 1883가구, 양구 684가구, 인제 573가구 등 모두 6372가구의 관사를 신축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이들 지역에 들어선 관사가 4969가구라는 점을 고려하면, 2025년께는 1만1341가구의 군 관사가 접경지역에 들어서게 되는 셈이다.
강원도는 안정적인 숙소 제공을 통해 군 간부를 지역 구성원으로 안착시켜 줄어든 병사의 빈자리를 채운다는 계획이지만, 접경지역 인프라 부족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더미다.
우선 출산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 현재 철원과 화천·양구·인제·고성 등 5개 접경지역에는 분만 가능 산부인과가 한 곳도 없다. 2017년 화천의 등록 임산부는 202명이지만 영유아는 46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성도 임산부는 693명이지만 영유아는 177명에 불과하다. 인프라 부족으로 지역을 떠나 원정 출산을 하는 탓이다.
접경지역 숙박업과 음식점 등에 각인된 ‘바가지’라는 이미지 개선도 시급한 과제다. 접경지역에 20~30대 군 초급간부와 여군 등이 많이 늘어날 전망이지만 일부 업소의 바가지와 불친절 등은 여전한 갈등 요인이다.
강원도 관계자는 “철원과 양구에 내년을 목표로 분만시설 확충을 추진 중이며 화천과 인제는 분만은 안 되지만 외래 진료가 가능한 산부인과를 운영하고 있다. 출산 인프라 확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