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문순 강원지사가 24일 오전 강원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올림픽 경기장 사후활용 방안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2018평창겨울올림픽 이후 애물단지로 방치됐던 경기장이 수익형 체험시설로 변신한다.
최문순 강원지사는 24일 오전 강원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신설 경기장 가운데 세부 활용방안이 확정되지 않았던 3곳을 전문 체육시설과 수익형 체험시설을 결합한 형태로 활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평창올림픽 당시 신설된 경기장은 7개다. 이 가운데 강릉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과 강릉하키센터, 올림픽슬라이딩센터 등 3곳을 전문 체육시설로 활용하기로 하고 존치가 결정됐지만 세부 활용계획이 확정되지 않아 그동안 사실상 방치돼 있었다.
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은 ‘다기능 복합 스포츠컨벤션 센터’로 활용된다. 스피드경기장의 특징인 대형 실내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드론 경기장과 이스포츠 경기장, 실내 스포츠 테마파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도입할 계획이다.
강릉하키센터는 ‘스포츠·공연 융복합 문화공간’으로 활용된다. 대표팀이나 동호인팀 훈련과 각종 대회 등 경기장 본연의 기능을 극대화하고, 내년부터 전국 사회인 아이스하키 리그를 개최해 매주 주말이면 경기장에서 아이스하키 경기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 밖에 피겨 아이스쇼와 은반 스크린 영화제 등 빙판을 활용한 공연·문화 프로그램도 진행하기로 했다.
슬라이딩센터는 ‘스포츠·익스트림 체험시설’로 활용된다. 대회나 훈련 시에는 슬라이딩 경기장으로 활용하고 평상시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플라잉 스켈레톤, 휠 봅슬레이 등 다양한 슬라이딩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강원도는 올림픽 경기장에서 각종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면 연간 55억4000만원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문제는 경기장 운영에 필요한 예산이다. 올림픽 경기장에 대한 국비지원은 국가대표팀 사용료 등의 명목으로 한해에 22억원이 지원된다. 하지만 강원도가 마련한 사후활용 방안에 필요한 예산은 한해에 40억원이다. 강원도는 수익형 체험시설 운영과 대관 등을 통해 18억원 이상을 벌어야 적자를 피할 수 있다.
최문순 강원지사는 “경기·교육·체험 등을 통해 올림픽 유산을 확대하고, 적극적인 체험형 수익시설 도입을 통해 3년 안에 적자 없이 운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글·사진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