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청사 신축 장소를 놓고 원주에 이어 화천까지 가세하는 등 갈등이 커지고 있다.
최문순 화천군수와 신금철 화천군의장은 25일 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신축 도청을 간동면 간척리 동서고속화철도 화천역 건립 예정지 인근에 유치하겠다”고 밝혔다.
화천군은 현재 도청 청사면적의 13배가 넘는 군유지 330.578㎡를 제공하겠다는 구체적인 계획도 제시했다. 최 군수는 “현재 도청이 겪는 심각한 주차난과 근무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민원인 편의와 공무원들의 근무환경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신금철 화천군의장도 “통일시대 남북 강원도 통합과 북한 진출의 용이성 등을 따져볼 때 강원북부권의 중심인 화천으로 도청을 이전하는 것이 국가균형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화천까지 도청사 유치전에 뛰어들면서 지역 간 갈등이 커지는 모양새다. 앞서 원주시의회도 지난 16일 ‘강원도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균형 발전을 위해 도청 이전 건의안’을 채택했다. 원주시의회는 건의안에서 “도청사는 특정 지역의 전유물이 아니다. 강원도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균형 발전을 위해 다른 지역으로 도청을 이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주시번영회도 가세해 도민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방식으로 공정하고 투명하게 행정절차를 진행할 것을 촉구했다. 원주시번영회 관계자는 “충남 도청 이전 과정을 보면, 도청 이전추진위원회를 발족해 발생할 수 있는 지역 갈등을 예방했다. 도민 의견을 광범위하게 수렴하는 절차가 필수”라고 지적했다.
원주에서 다른 시·군으로 도청사 이전을 해야 한다고 요구하자 춘천지역 정치권이 반발하고 나섰다. 자유한국당 소속 김진태 국회의원과 시의원 8명은 지난 19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강원도청은 춘천에 있는 것이 당연하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도청사 신축을 놓고 지역 간 갈등이 커지자 강원도는 난감한 표정이다. 강원도 관계자는 “현 위치에 다시 신축할지 아니면 춘천의 다른 곳으로 이전할지 논의하고 있을 뿐 다른 시·군으로 도청을 이전하는 것은 검토 대상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강원도는 1957년 건설된 청사가 내진성능평가 결과 ‘붕괴’로 판정나는 등 안전에 문제가 있는데다 행정안전부 청사면적 기준에 견줘 60% 수준에 머무는 등 사무공간 부족 문제가 제기되자 청사 신축을 추진하고 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