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와 민생, 사회공공성 실현을 위한 강원지역연석회의가 10일 오전 강원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원도와 도교육청에 민중생존권과 사회공공성 실현을 위해 11개 핵심 과제를 추진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강원도내 노동·여성단체 등이 강원도와 도교육청에 민중생존권과 사회공공성 실현을 위해 11개 핵심 과제를 추진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민주주의와 민생, 사회공공성 실현을 위한 강원지역연석회의는 10일 오전 강원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원지사와 교육감이 10년 가까이 집권했는데도 불구하고 강원도민들의 현실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생존권과 공공성 강화를 위한 민중들의 요구가 정책에 반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석회의에는 민주노총 강원지역본부와 전농 강원도연맹, 전교조 강원지부, 강원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등 10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연석회의는 “지역 곳곳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생존권 보장 요구가 이어지고 있고, 강원농업은 무너지기 직전이다. 고교평준화 제도는 흔들리고 강원공공의료는 기능이 약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버스도 사업자에게 엄청난 이익을 안겨주며 도민의 안전한 이동권을 위협하고, 가리왕산과 춘천 레고랜드, 홍천 양수발전소, 고압송전탑, 석탄화력발전소 등 개발이라는 명목으로 강원도의 자연환경과 문화유적이 파괴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원지역연석회의는 이어 민중생존권과 사회공공성 실현을 위한 11대 핵심 요구안을 발표했다. △농민수당 조례 제정 △춘천 레고랜드 백지화 △고교평준화 해체하는 선지원 후추첨 고교배정방식 철회 △강원도 시내버스 완전공영제 실시 △석탄화력발전소·고압송전탑·양수발전소 취소 △상수도 민간위탁운영 공영제 환원 △청년고용할당제 실시 △공공의료원 인력·첨단장비 확충 △ 직장내 성희롱·성폭력 피해자를 위한 원스톱 시스템 구축 △무상교육 확대 △비정규직 철폐 직접고용 실시 등이다. 강원지역연석회의는 도교육감과 도지사를 차례로 면담하고 3월께 공론화 과정을 위한 도민토론회도 열 계획이다.
김영섭 강원지역연석회의 상임대표는 “강원도와 도교육청은 이 요구안을 즉각 정책에 반영해 강원도 민중의 삶이 나아질 수 있도록 실행해야 한다. 요구안이 완전히 실현될 때까지 투쟁을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글·사진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