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경지역시장군수협의회는 지난 10일 경기도 연천에서 임시회의를 열어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장기화에 따른 대책을 논의했다. 양구군 제공
아프리카돼지열병 사태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접경지역 지자체들이 양돈농가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며 정부에 이동제한 범위 확대 등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강원 철원과 경기 김포 등 접경지역 10개 시장·군수가 꾸린 접경지역시장군수협의회(회장 조인묵 양구군수)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장기화에 따른 피해보전 대책을 촉구하는 공동건의문을 만들어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 등에 전달하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해 9월 경기도 파주지역 양돈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처음으로 발생한 이후 접경지역 지자체는 예방적 살처분과 방역울타리 설치 등의 조처를 하면서 전염병 차단에 온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10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전염병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양돈농가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접경지역은 아프리카돼지열병 차단을 위해 방역용 울타리와 방역실, 퇴비사 방조망 등 점점 더 많은 방역시설 설치가 의무화되면서 지자체와 양돈농가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고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반면 이동통제 장기화에 따른 새끼돼지 입식 제한 등으로 양돈농가는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방역에 따른 의무사항은 점차 늘어가는데 이동통제 등의 이유로 돼지를 키우거나 판매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셈이다.
협의회는 이동통제 장기화에 따라 돼지 입식이 늦어지거나 출하 지연에 따른 과체중 발생 등의 손실을 보상하고 출하지역 확대 등 이동제한 조처를 완화해야 한다고 정부에 요구할 계획이다.
특히 현재 양돈농가에 지원되는 생계안정자금(월 67만원)은 최저생계비에도 미치지 못하는 만큼 추가 지급 등 지원한도액을 현실화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김광진 양구부군수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사태 장기화로 양돈농가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강화된 방역대책에 맞춰 양돈농가를 현실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