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군송전탑반대대책위원회가 28일 오전 홍천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 건설사업 반대 홍천지역 각계 대표자 공동선언’을 했다. 대책위 제공
강원도 홍천군의 주민 대표들이 한국전력공사가 추진 중인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 건설사업에 반발해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홍천군송전탑반대대책위원회는 28일 오전 홍천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 건설사업 반대 홍천지역 각계 대표자 공동선언문’을 낭독했다. 이날 공동선언에는 지역 노동·농민·정당·시민사회·종교·풀뿌리조직 등 50여개 단체 회원 3000여명이 함께했다.
대책위는 공동선언문을 통해 “제2의 밀양 송전탑 사태를 불러올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 사업을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 아무리 국책사업이라도 국민의 동의 없이 밀어붙이는 과거의 폭력적인 방식으로는 어떤 정당성도 인정받을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도 탄소 중립이 세계적으로 요구되는 새로운 경제, 국제질서라고 강조한 바 있다. 대규모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전제로 강행하는 송전선로 사업은 시대를 역행하는 사업이다. 산업자원부는 기후환경 변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전력사업과 송변전 시스템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남궁석 대책위 공동위원장은 “농촌에도 사람이 살고 있다. 더는 서울과 수도권에 전기가 필요하다는 이유만으로 농촌의 희생을 강요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용준순 공동위원장도 “한전은 유신 시대 만든 ‘전원개발촉진법’을 근거로 국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고, 마을공동체와 환경을 파괴하는 범죄적 행각을 일삼았다. 국회가 나서서 전원개발촉진법을 폐지하고 정의롭고 공정한 에너지 정책 수립을 위한 법과 제도를 마련해달라”고 호소했다.
앞서 허필홍 홍천군수와 공군오 홍천군의장도 지난 9일 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전은 주민을 무시하면서 추진한 사업 추진 절차에 대해 사과하고, 원점에서 다시 협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문제가 된 송전탑은 한전이 신한울 원전 1·2호기와 강릉·삼척 화력발전소 등에서 생산된 전력을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2025년까지 선로길이 220㎞에 송전탑 약 440기를 건설할 계획이다. 이 가운데 홍천에만 100여기의 송천탑이 건설 예정이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