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수장 이전을 놓고 30년 넘게 이어진 강원도 원주시와 횡성군의 갈등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강원도와 원주시, 횡성군은 19일 공동 보도자료를 내어 ‘원주·횡성권의 안정적 용수공급과 상생협력을 통한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공동용역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원주와 횡성의 갈등은 1987년 횡성과 경계에 있는 원주시 소초면 섬강에 장양취수장이 건설되면서 시작됐다. 원주시민을 위한 수돗물 공급시설이지만 인근 횡성읍 모평리와 반곡리 등 4개 지역 1.549㎢가 상수원보호구역에 포함되면서 각종 개발제한 등 규제를 받게 됐기 때문이다.
횡성군은 그동안 원주시에 수차례 ‘취수장 횡성댐 이전’ 등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횡성군의 식수원인 횡성댐은 이미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어 추가 규제가 필요없다. 원주시는 인구가 늘어나면 향후 필요한 생활용수가 횡성댐 용량(20만t)을 넘어설 수 있다는 이유 등을 들어 장양취수장 폐쇄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양쪽 주장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횡성주민들이 대규모 궐기대회를 개최하는 등 갈등이 커지자 결국 강원도가 중재에 나섰다. 그 결과 강원도, 원주시, 횡성군이 참여하는 공동용역을 통해 이 문제를 결론짓자는 합의가 도출됐다.
내년 11월까지 진행될 공동용역에서는 원주·횡성지역의 미래 물 수요 분석과 그에 따른 안정적인 용수공급 방안 등이 담길 전망이다. 횡성댐의 광역상수도를 원주시민에게 공급하고, 장양취수장은 비상취수원으로 전환해 긴급할 때만 사용하는 방안도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박용식 강원도 녹색국장은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다양한 용수공급 방안과 그동안 다루지 못한 각종 제도개선 사항도 함께 검토해 장기간의 갈등이 하루빨리 해결될 수 있도록 합의점을 끌어내겠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