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대선 정책을 점검하는 기획의 하나인 지역과 청년 문제와 관련해 의견을 이야기한 청년들. 왼쪽부터 영천 출신 대구 취업자 장인영씨, 광주 출신 서울 취업자 양현아씨, 광주 전남대 학생 오준혁씨, 홍천 비정규직 취업자 허은희씨. <한겨레> 자료 사진
광주·전남지역 20대 청년들의 ‘탈지역’ 현상이 지속하고 있어 지역 장점을 살린 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4분기 및 연간 지역경제 동향’을 보면, 20~29살 청년이 지난해에만 광주에서 2644명, 전남에서 9256명 등 총 1만1900명이 타지역으로 떠난 것으로 집계됐다. 광주에서는 2018년 3361명, 2019년 2588명, 2020년 2679명 등 유출인구가 감소·정체 상태지만, 전남은 2018년 7983명, 2019년 8522명, 2020년 1만944명으로 유출 규모가 갈수록 확대되는 추세다.
20대 청년들의 탈지역 현상 원인으로는 일자리 부족 문제가 첫손에 꼽힌다. 광주의 20대 고용률은 2018년 54.6%에서 해마다 하락해 지난해에는 49.6%로 집계됐고, 전남지역 지난해 20대 고용률도 53.1%에 그쳤다. 정치·경제·문화 등 많은 부분이 수도권에 50% 이상 집중된 상황에서 청년들을 지방에 묶어두기 힘든 상황도 문제다.
박성수 미래남도연구원장은 “대기업 유치 등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스타트업 등 창업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특화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들이 머무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기성세대와 다른 문화적 성향을 가진 청년세대들이 즐기고 싶은 것을 즐길 수 있는 시설이나 공간에 대해서도 논의하는 등 정주 여건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광역시 균형발전정책과 류재준 전문위원(도시·지역개발학 박사)은 “70~80년대 지역에 살다 외지로 간 출향민 등 ‘관계인구’를 다시 고향으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유인해 인구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며 “그러면서 청년들이 지역에서 과감하게 창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청년창업 인큐베이팅 센터 등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삼석 의원 등이 발의한 인구소멸위기지역지원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 법안은 지방자치단체의 계획을 반영해 인구소멸 위기지역 지원을 위한 5년 단위의 기본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국고보조율 올리도록 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