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산악열차 반대대책위원회 등이 20일 오전 전북도청 앞에서 지리산에서의 산악열차 추진을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회원들이 반달가슴곰이 고통받는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다. 박임근 기자
전북지역 환경단체 등이 전북도·남원시가 추진하는 지리산 산악열차 백지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지리산산악열차 반대대책위원회 등은 20일 오전 전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산으로 간 4대강 사업인 지리산 산악열차를 반대한다. 반환경적이고 반경제적인 이 사업을 즉각 백지화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국립공원 1호인 지리산은 개체 복원을 시도한 반달가슴곰이 돌아다니는 곳으로 잘 가꿔야 할 소중한 자연유산이다. 하지만 산악열차가 들어서면 각종 관광시설이 몰리고, 열차가 요란한 소음을 내고 달리면서 멸종위기의 야생동물 생태계까지 위협받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전북도가 작성한 ‘지리산친환경전기열차 도입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용역’ 자료를 보면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지수가 매우 낮다. 적자를 보게 되면 결국 시민혈세로 부족분을 채워야 해 골칫거리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환경단체 등이 20일 오전 전북도청 앞에서 지리산 산악열차 백지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박임근 기자
전북도 관계자는 “산악열차사업은 남원시에서 오래 전부터 추진했다. 국가기관과 함께 하는 사업이기에 법적인 요건을 갖춰서 추진할 것으로 안다. 또 도로를 신설해 자연 훼손을 하는 게 아니라, 기존 지방도에 환경오염 우려가 없는 전기열차 레일을 깔아 운영하는 방식”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지난달 ‘산악용 친환경운송시스템(산악열차) 시범사업’ 공모에 남원시의 ‘지리산 친환경 전기열차 사업’을 최종 선정했다. 이 시범사업은 대중교통 접근이 어려운 산악지역을 대상으로 자연환경의 인위적 개발 없이 기존 교통인프라를 활용해 환경 훼손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앞으로 1㎞ 시범구간을 거쳐, 육모정~고기삼거리~고기댐~정령치 13㎞ 구간에 사업비 981억원을 추가 투입해 실용화할 예정이다. 남원시는 산악벽지 주민 350여 가구가 교통권을 확보하고, 1천명이 넘는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